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방과후 학교 아직은 '기대 반'..
사회

방과후 학교 아직은 '기대 반'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6/03/17 00:00 수정 2006.03.17 00:00

교육 양극화 해소ㆍ사교육비 경감 기대
시범실시 1년 긍정론 속 해결과제 여전

"민재는 학교수업이 끝나고 학원 통학버스를 타는 대신 가까운 이웃학교로 향한다.

민재와 같은 초등학생들은 논술, 독서토론, 영어회화 등을 이들 '방과후 교실'에서 배울 수 있고 중ㆍ고교생들은 원하면 논술과 토플ㆍ토익도 배울 수 있다. 지역주민들도 스포츠 댄스 및 각종 강좌를 수강할 수 있다"
 
바로 방과후 학교가 시작되면 현실화될 내용이다.

교육인적자원부가 지난해부터 실시한 '방과후 학교' 시범실시 1년의 성과가 다른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방과후 학교'는 학교장 직영을 원칙으로 하되 외부기관에서 전문강사를 불러올 수도 있고, 학부모회나 시민단체 등 외부기관에 프로그램을 위탁할 수도 있다.  이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교 여건과 지역특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운영하도록 했다.

관내에는 어곡초등학교와 삼성중학교가 2006년 방과후 학교 시범학교로 지정되어 교사 워크숍을 마치고 구체적인 계획안을 구상하고 있는 상태다.

교육부는 깊어가는 교육의 양극화를 해소하고 비싼 사교육비를 줄여 저렴한 비용으로 원하는 모든 이에게 공급하겠다며 방과후 학교의 취지를 설명하고 있다.  결국 방과후 학교는 사교육을 학교가 끌어안겠다는 것이다.

우수한 강사를 영입해 학교 울타리 안에서 저렴한 비용의 수업을 공급해 교육양극화해소에 큰 보탬이 될 것이라는 것이 교육부의 입장.

그러나 한편에선 방과후 학교가 사교육비 경감에 별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회의적인 의견이 나오고 있다.  방과후 학교가 '좀 더' 나은 사교육을 바라는 학부모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특기적성교육에서는 우수한 강사확보를 위해 고액의 수강료를 감당할 수 있는 학교예산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별다른 예산확보대책이 없다는 것도 문제다.

결국 강사의 자리는 교사의 부담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과연 방과후 학교가 교육부의 주장처럼 사교육비를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자리 잡을 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일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