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센터 농업개발과 생활기술담당 문란주 계장의 말이다. 문 계장은 기자를 본관 옥상정원에서부터 야외농업학습장을 거쳐 농업교육홍보관 1층의 새기술전시실과 2층 농경문화전시실로 두루 안내하면서 자세한 설명으로 취재를 도왔다. 야외농업학습장
야외농업학습장은 <선인장·다육식물전시실> <약초·야생화전시실> <정원전시실> <조직 배양묘 온실> <옥상정원> <과수시범포> <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농업교육 홍보관
농업교육홍보관은 우리나라 농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한자리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기획되어 있다. 농업인과 시민들에게 새로운 농업과학 기술 정보를 제공하고 우리나라 농업의 미래를 내다보게 하는 첨단 농업과학 기술 코너가 있는가 하면, 우리나라 농업의 어제를 살펴볼 수 있는 각종 농경유물도 전시해 놓았다. ▶새기술전시실
우리농업의 변천과정과 새로운 기술 및 농업관련 그림, 사진, 실물, 모형 등이 전시되어 있는 1층 새기술전시실에는 영상관을 비롯해 농업의 다원적 기능, 벼의 일생·벼농사 전래경로, 병해충 종합관리, 양산 기능농산물·농특산물, 생물자원의 신기능소재개발 등을 설명하는 자료와 전시물들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해 놓았다.
▶농경문화전시실
2층 농경문화전시실에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온 조상의 얼이 담긴 농경유물과 농기구, 옛적의 농작업 중 중요한 과정을 4계절로 구분하여 전시해 놓았다. 선사시대 농업에서부터 시작해 계절별 농작업·농기구, 옛 도량형기, 생활유물, 세시풍속도 등이 관람객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이밖에 기상관측시설, 측우기 및 해시계 등을 볼 수 있는 야외농업 유물 전시장도 눈길을 끈다.2006 생활과학기술교육계획
교육 목적은 생활에 요구되는 생활기술교육을 통해 능력 있는 여성농업인을 육성하는데 있지만, 농외소득활동, 농산물가공기술, 현지문제해결중심의 농작업환경개선, 전통생활문화·식문화, 소비자 교육 등 전문분야별 교육이 펼쳐지므로 관심 있는 사람은 누구든지 수강신청을 할 수 있다.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교육으로 농업인은 물론, 도시민들에게도 농업의 중요성과 농촌생활에 대한 긍지를 심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 이수 후에는 전문교육이수자 연구회, 동호회 구성으로 상호정보교류 및 정기모임, 작품전시회도 갖는다. 올해 교육은 2월부터 12월까지 2,500명을 대상으로 100차례의 강좌를 연다.------------------------------------※2006 생활과학기술교육계획 /세부추진계획정규 기능반(5개반)생활그릇반(8회) 25명-생활그릇 및 대형실용품 만들기
농산물가공이용반 (4회) 30명-우리농산물 가공 및 활용교육
전통생활문화반(8회) 30명-천연염색, 규방공예 등 전통생활문화전수
생활다도반(8회) 30명-전통다도 및 생활다도 문화 정착
웰빙원예반(4회) 30명-원예복지 이론 및 실내식물가꾸기
생활 기술반(7개반)생활개선회원반(4회) 264명-생활기술과제 전반
여성농업인회원반(2회) 80명-농업기술·생활기술과제 전반
농심생활개선회원반(2회) 100명- 생활기술과제 전반
어린이생활원예반(2회) 80명-엄마와 어린이 함께하는 실내식물가꾸기
소비자농업교실(9회) 301명- 농촌농업이해와 농산물생산현장교육
농업교육홍보관, 야외학습장 견학을 통한 교육
향토음식연구회원반(4회) 120명-향토음식발굴 및 연구 보급
농작업환경개선반(5회) 210명-화훼반별 농작업환경 개선교육
현지 지도반(4개반)읍면생활개선회원(18회) 640명-생활기술과제 현장지도
노인생활지도마을(4회) 212명-노인생활지도, 노인교실운영
농촌건강장수마을(4회) 228명-노인건강체조, 노인교실운영
농업인건강관리반[시범사업장주민반] (4회) 120명-농작업환경개선, 농업인
사진_홍성현 기자 / redcas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