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교육특구 공청회 기약없는 연기..
사회

교육특구 공청회 기약없는 연기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6/03/24 00:00 수정 2006.03.24 00:00

시가 고질적인 교육문제 해소를 위해 추진해온 교육특구 추진이 시작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시는 지난달 23일 '양산과학인재양성교육특구' 지정신청에 따른 특구계획안, 공청회, 특화사업자 지정신청 등을 공고하고 24일 시민공청회를 가질 예정이었지만 부산대와 협약 체결 지연 등의 이유로 공청회가 무산되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교육특구 지정을 위해 부산대 제2캠퍼스 부지 내에 건립될 과학관 및 과학영재교육원 등이 부산대와의 협약 체결이 늦어져 공청회를 연기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한 특구지정 공고에서 경남외고를 자율학교로 지정하는 특화사업이 효암고로 변경되면서 계획 변경에 따른 행정절차를 밟아야 하는 문제도 발생했다.

시 관계자는 "교육특구 지정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왔으나 부산대 내 부지 사용 문제는 부산대와 교육부가 협의를 마친 뒤에야 협약이 가능하다"며 "현재 부산대에서 교육부와 이 문제를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미 특구 사업에 따른 예산 확보 문제 등이 제기되어 왔으나 시작부터 특구 사업이 난항을 겪으면서 사업 추진 과정에서 의욕만 앞서고 준비가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교육특구는 지난해 김양수 국회의원이 교육문제 해소를 위한 대토론회를 마련하면서 제안한 것이다.  당초 글로벌인재양성특구로 계획되었다가 경남지역에만 거창, 창녕, 김해 등이 영어교육특구로 지정되어 있어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재경부의 지적에 따라 과학인재양성특구로 변경된 바 있다.

시는 24일 공청회 이후 4월 중으로 교육특구 문제를 마무리 짓겠다는 계획이었지만 공청회 자체가 무기한 연기되면서 선거 이후로 교육특구 사업 논의가 미뤄질 가능성이 커졌다.

선거를 앞둔 시점에 교육특구 지정을 둘러싼 찬ㆍ반 논란이 확산될 경우 교육특구 자체가 교육문제 해소라는 원래 취지보다 정치쟁점화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이유이다.  따라서 교육특구 추진을 통해 교육문제 해소를 뒷받침한다는 계획이 향후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새로운 국면을 맞을 수 있다는 조심스런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