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장애인들에게 사회적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1월 12일 개소식을 가졌던 여성장애인 작업장 2곳의 작업 중단이 장기화 되고 있는 것으로 취재결과 나타났다. 경남도에서 도내 14곳의 여성장애인 작업장의 사업계획서를 모두 검토하여 예산을 일괄적으로 집행한다는 이유로 예산의 차질이 생겨 잠정 중단되었던 작업장<본지 119호, 2006년 2월 10일자 보도>이 현재 대표자 문제가 거론되면서 장기화 되고 있는 것이다. 12호점과 13호점의 경우 실제 운영자는 혜찬산업(사장 김병식)과 경남지체장애인협회 양산시지회(지회장 정해도)로 각각 다른 반면, 대표자는 경남지체장애인협회 양산시지회로 되어 있어 된 것. 시 관계자는 "실제 운영자와 대표자가 달라서 대표자 문제가 정리되는 대로 경남도에서 장애인 작업장 사업승인 후 예산을 집행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고용된 인원이 20명 이상인 12호점의 도비와 시비 각각 50%씩 6천만 원의 예산과 10명 이상인 13호점의 3천만 원의 예산이 대표자 문제가 해결되어야 지급되는 것이다. 행정절차상의 문제와 대표자 문제가 거론되는 동안 결국 피해는 고스란히 여성장애인에게 돌아와 우려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34명의 여성장애인들이 누렸던 취업의 기쁨도 잠시, 현재 공장작업의 중단으로 일자리를 잃은 상태인 것이다. 여성장애인 작업장 12호점 관계자는 "예산이 내려오지 않아 월급 지급도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며, 물품의 발주도 어려워져 장애인들이 받은 상처가 크다"고 전했다.13호점은 12호점의 판로를 통해 물품을 받아 사업을 진행 중이었던 상태라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경남지체장애인협회 양산시지회 관계자는 "현재 13호점의 경우 휴대폰 고리 등 부업정도의 일거리 밖에 없어 공장운영이 사실상 중단된 상태이다"며 "앞으로 사업내용을 변경, 세탁업을 운영할 계획으로 사업계획서를 경남도에 신청해 승인을 얻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자리매김을 하기위한 성장통이라고 하기에는 말 많고 탈 많은 여성장애인 작업장. 시와 여성장애인 작업장의 끊임없는 대책강구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