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성 강화 노력 불구 자영업 강세 뚜렷처음 중대선거구제로 치러지는 5.31 지방선거에 후보 난립 현상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예비 후보자들이 선관위에 신고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40대 대졸 이상 자영업 남성’이 주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3월 29일 현재 선관위에 예비후보로 등록된 사람은 모두 50명. 시장후보군이 10명, 도의원후보군 5명, 시의원후보군이 35명으로 집계되었다. 정당별로 살펴보면 한나라당이 24명(48%), 무소속이 11명(22%), 열린우리당 3명(6%), 민주노동당 2명(4%)으로 각각 나타나 한나라당에 후보군이 몰려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지난 26일 한나라당 경남도당이 도의원 및 시의원 공천자를 발표한 후 일부 한나라당 공천신청자들이 탈당, 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가운데 앞으로 한나라당을 탈당한 무소속 출마자들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한편 열린우리당은 아직 후보군을 마련하지 못한 채 시장 후보 2명을 제외하고 시의원 가운데 1명만 열린우리당으로 예비후보등록을 마쳐 한나라당을 이탈한 일부 예비후보들이 열린우리당으로 당적을 변경할 지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의 후보군이 조정되는 시점과 더불어 한나라당 공천에 탈락한 현직 시의원들이 출마의사를 밝히고 있어 추가 예비후보등록으로 후보난립현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현재 11명의 의원 중 2명만을 공천 대상자에 포함시켜 현직 시의원들의 반발 또한 거세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 4명(8%), 40대 23명(46%), 50대 19명(38%), 60대 4명(8%)으로 40~50대 후보자들이 전체 8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성별로는 남성이 49명으로 여성후보는 시의원 라 선거구(중앙, 삼성, 강서)에 출마하는 민주노동당 심경숙(38) 후보가 유일하다. 최근 한명숙 총리 지명, 박근혜 대표,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의 서울 시장 출마 등으로 여성정치인들이 부각되는 가운데 지역에서 여성 선출직 후보가 1명밖에 없다는 점은 아직까지 척박한 지역여성정치계의 토양을 보여주는 사례로 분석된다. 이후 비례대표 공천과정에서 여성후보들이 늘어날 전망이지만 선출직 후보에 대한 여성정치인들의 부담감은 여전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직업별로 분류하면 자영업이 17명(34%)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어 정치/정당인이 10명(20%)으로 다음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방의회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유급제를 도입했지만 전문직인 교육계, 의료계, 법조계 등 직업군의 진출은 5명(10%)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상대적으로 시간을 자유롭게 쓸 수 있고 재정적 여력이 있는 후보들이 결국 지방의회에 진출하는 관행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한편 출마경험이 한 번이라도 있는 후보는 27명(54%)이며, 처음 출마하는 후보는 23명(46%)으로 이후 현역 시의원들이 예비후보등록을 하게 되면 출마경험자들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른 바 ‘상습출마자’들의 행태도 개선되지 않고 있어 유권자들이 지방선거에 눈을 돌리는 현상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중대선거구제와 유급제를 통해 참신한 정치신인을 발굴하겠다는 취지가 자영업 출신 및 기존 출마경력자들의 출마 비중이 높아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졸(2년제 이상) 이상 학력이 32명(64%)이며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가 11명이나 된다. 하지만 높아진 학력만큼 시의회의 전문성을 보완할 수 있을 지는 여전히 미지수라는 평가다. 선거보도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