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 지방선거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된 이후 선거브로커들로 고민하는 예비후보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른바 ‘사람을 모아주겠다’, ‘상당한 조직을 가지고 있다’, ‘선거에 도움될 정보를 가지고 있다’며 접근하는 선거브로커들이 대목을 만난 셈이다. 특히 처음 선거에 출마하는 후보의 경우 처음부터 관계를 맺지 않는 것이 좋다는 생각에도 불구하고 선거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생각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시의원으로 처음 출마하는 한 예비후보자는 “선거에 도움을 줄 수 있다며 찾아오거나 주변 인물 등을 통해 연락오는 경우 노골적으로 금품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금품에 대한 부담감을 주는 행동을 하는 것이 사실”이라며 답답해했다. 또한 한 시의원 예비후보는 “지역에 청년조직 등을 가지고 있다며 접근해 오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문제는 선거브로커들이 과거처럼 노골적으로 금품을 요구하는 행동 등은 보이지 않으면서 예비후보자들에게 은근한 압박을 가한다는 것이다. 특히 후보군이 난립하면서 지역 표심이 갈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고정표’를 가지고 있다는 유혹은 상대적으로 선거경험이 적은 신인 정치인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선거브로커들이 비단 특정후보에만 지원을 약속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은 알고 있으면서도 관계를 일방적으로 차단할 경우 좋지 않은 여론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 예비후보자들이 속앓이를 하는 배경이다. 최근에는 선거법이 강화되면서 선거전략 등을 상담해주겠다는 신종브로커들이 등장해 예비후보자들을 심란하게 하고 있다. 이른바 선거기획사들이 다른 지역에서까지 넘어오면서 각종 서류를 구비해 후보자들을 찾아다니며 ‘선거영업’을 펼치고 있다. 한편 경찰서(서장 이갑형)는 지난 3일 선거사범처리상황실 현판식을 갖고 24시간 수사전담반을 가동, 불법선거사범에 대하여 엄정대처 하겠다는 강력한 단속의지를 밝혔다. 선관위(위원장 박윤성) 역시 불법선거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는 한편 선거부정감시단을 발족하고 부정선거 감시 의지를 밝히고 있다. 하지만 음성적으로 인맥을 통해 들어오는 선거브로커의 유혹을 뚜렷한 물증없이 신고할 수 없는 상황이 예비후보자들의 고민을 더하고 있다. 이렇듯 선거철마다 활개치는 선거브로커들은 정책보다 조직이 앞서는 그릇된 선거문화의 한 단면이라는 지적이다. 선거보도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