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경남도당 공천심사위가 양산지역 기초의원과 광역의원 후보공천에 이어 7일 시장후보 공천결과를 발표함으로써 그동안 꽤나 뜸을 들였던 한나라당 5.31 지방선거 양산지역 후보자들이 모두 결정되었다. 하지만 공천결과를 두고 한나라당 안에서도 큰 반발이 일고 있고, 시민사회 일각에서도 공천과정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어 한나라당의 공천후유증이 자못 심상찮을 조짐이다. 반발은 함께 시장 후보 공천 경쟁에 나섰던 성홍룡, 안일수, 우종철, 조문관 씨 등으로부터 먼저 불이 지펴졌다. 이들은 10일 “여론조사에서 하위권을 맴돌던 후보를 공천했다”면서 공천철회와 재심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또 ‘공천기준 공개와 전략공천 배경 공개’, ‘김양수 국회의원 사퇴’ 등을 요구하며 한나라당 경남도당 공천심사위와 김양수 의원을 향해 날을 세웠다. 13일에는 한나라당 예비후보로 공천을 신청했다 탈락한 현역도의원 및 시의원 8명이 김양수 의원 후원회 사무실에 탈당계를 제출하고 “당원 및 시민의 여론수렴 한번 없이 밀실, 정략 공천으로 일관해 당원과 시민의 자존심과 권리를 송두리째 무시했다”며 반발에 합세했다. 그런가하면 공천을 신청한 예비후보 외에도 시민사회단체가 한나라당의 공천을 문제 삼으며 ‘무소속 후보 단일화’를 추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지역정가는 물론 시민사회에 까지 공천에 대한 반발기류가 확산되고 있다. 이처럼 한나라당 공천 뒤끝이 시끄러운 데는 한나라당 경남도당 공천심사위의 책임이 크다.“사전에 공천기준을 밝히지 않았고 공천과정에서 의견 조율과정을 한 번도 가지지 않았다”는 공천탈락자들의 주장이 아니더라도 경선 등의 투명한 절차를 애써 피하고 절차가 번거롭다는 이유로 굳이 무경선을 택했을 때부터 파문은 이미 예고되었었다. 따라서 한나라당이나 김양수 의원은 마냥 침묵만 지키고 있을 것이 아니라 이번 문제제기에 대해 납득할 수 있는 해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4월 20일이 ‘장애인의 날’이라는 것을 아는 비장애인들은 그다지 많지 않다. 장애인의 날은 우리 정부가 1981년 ‘장애인복지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촉구하고 장애인을 올바르게 이해하며 장애인의 재활의지를 고취’할 목적으로 4월 20일을 ‘장애인의 날’로 정하고 해마다 기념행사를 열어 온데서 비롯된다. 따라서 올 4월 20일은 ‘장애인의 날’ 스무 여섯 돌이다. 그동안 26년이라는 세월이 흐르면서 비장애인들이 장애인을 바라보는 눈길도 한결 따뜻해 졌고 장애인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무성했지만, 장애인들에 대한 차별과 홀대가 여전한 것 또한 숨길 수 없는 현실이다. 이런 차별과 홀대를 걷어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리 사회가 장애인을 특별한 대상으로 여기고 있는 생각부터 버려야 한다. 자고나면 생각지도 않았던 사건사고가 발생하고 엊그제까지만 해도 멀쩡했던 사람이 하루아침에 장애인이 되는 세상이다 보니 장애인은 더 이상 특별한 대상일 수 없다. 따라서 장애인복지정책은 한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구성원들의 복지정책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이는 장애인을 위해 마련된 시설을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나 임산부와 같이 몸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비장애인들도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을 보아서도 알 수 있는 일이다. 우리나라의 어느 곳이나 다 비슷한 실정이지만 특히 우리 양산은 장애인들의 바깥나들이가 불편하기 짝이 없는 도시다. 관내에 등록되어 있는 장애인 수만 7,500여명에 이른다는데 이들이 마음 놓고 나다닐 수 없어서야 ‘맑고 밝고 훈훈한 큰 양산’도 한낱 공염불이 되고 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