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월 19일은 4.19혁명 마흔 여섯 돌이 되는 날이다. 때 묻지 않은 순수한 청년학생들이 스스로의 목숨을 내던져 거대한 독재권력을 무너뜨린 20세기의 가장 아름다운 민주혁명이 일어났던 그 때로부터 세월이 어느새 46년이나 흐른 것이다. 4.19는 독재권력에 의해 유린되고 있는 민주주의를 쟁취하기 위해 젊은 학생들이 주도한 민중혁명이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시민층이 성장되지 않아 학생층이 혁명을 주도하기는 했어도, 곧이어 도시서민들을 중심으로 한 다수국민들의 광범위한 지지와 참여가 있었기에 학생시위가 단순한 학생들만의 시위로 끝나지 않고 마침내 혁명으로 승화될 수 있었다. 그러나 4월혁명은 쿠데타세력의 구둣발에 짓밟히면서 미완의 혁명이 되고 말았다. 하지만 5.16 세력의 20년 세월과 그 상속자들이 이어간 10년 세월이 흐르는 동안에도 4월혁명의 정신만은 올곧게 살아남아 1979년의 부마항쟁과 1980년의 광주민중항쟁 및 1987년의 민주화를 위한 범국민적 투쟁으로 이어지는 민중저항으로 계승되었던 것이다. 그러기에 우리 헌법도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하고’있음을 헌법전문에서 선언하고 있다. 그만큼 4.19가 우리나라의 정통성과 이 땅의 민주화운동사에 남긴 역사적 의미가 크다는 뜻일 것이다. 이번으로 4회째가 되는 전국동시지방선거도 1960년의 4월혁명으로부터 출발한 오랜 민중저항이 거두어낸 성과물의 하나다. 따라서 오는 5.31선거는 단순히 시장과 도지사를 뽑고, 도의원과 시의원을 선택한다는 데에만 의미를 둘 것이 아니라 4월혁명의 정신을 오늘에 되살린다는 데에 더 큰 뜻을 부여했으면 한다. 그래야 이번 선거가 오랜 중앙집권적 사회구조를 깨고 진정한 지방분권시대를 정착시키는 분수령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시가 이미 허가한 공장과 골프장, 사회복지시설을 놓고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질 않고 있다. 상북면 소토리에 들어서는 레미콘 공장과 골프장을 반대하는 주민들은 지난달 시청광장에서의 시위에 이어 이달 들어서는 레미콘공장 공사현장에서 연일 집회를 가지고 있는가 하면, 배내골 노인복지시설 허가를 둘러싼 논란도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원동면 주민들의 항의는 끝이 보이지 않는다.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민원은 이 뿐만 아니다. 건설교통부와 대한주택공사가 추진 중인 동면 사송·내송지역 택지개발사업에 대한 이 지역 주민들의 반발도 예사롭지 않다. 지난달 시장실 점거라는 극단적인 방법까지 동원했던 주민들은 최근에는 낙동강오염방지협의회 등 부산지역 환경단체들과 손잡고 대한주택공사 부산지사에서 택지개발에 반대하는 항의시위를 가지기도 했다.각기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는 지역사회 안에서 민원이 발생하는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일일 수도 있다. 문제는 민원발생이 아니라 각종 민원이 봇물처럼 쏟아지는데도 단체장이나 행정기관이 이에 대해 효과적인 대처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걸핏하면 시장실이 점거 당하고 민원인들이 행정관서에서 농성을 벌여도 속 시원한 근본 해결책보다는 ‘언 발에 오줌 누기 식’의 무마책으로 때우기 일쑤였다. 따라서 이제는 민원이 발생할만한 소지를 사전에 예방하고 발생한 민원에 대해서도 깔끔한 해결책을 찾는 민원대처 시스템을 마련할 시점이다. 더 이상 문제가 발생하고 나서야 우왕좌왕하는 민망한 모습은 보지 않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