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정치 진출은 그동안 정치에서 소외되었던 여성과 장애인, 사회적 소수자의 요구를 정책으로 반영하는 것이다. 정치를 일상 생활세계로 끌어들이는 대안정치와 생활정치로 바꾸어 내는 일이 필요하며, 이 '새판 짜기'의 주역은 바로 여성과 지역, 풀뿌리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 정치운동은 그 자체가 중앙집권적인 정치·사회 구조를 변화시키려는 운동이며 현재의 구조에 기반을 둔 지배적 가치를 바꾸어 새로운 가치를 실현할 역량을 쌓아가야 한다. 여성의 정치참여는 단순히 생물학적인 여성의 정치참여를 확대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잘못된 정치구조를 바꾸어 나갈 여성정치인들을 진출시키는 것이다. 지난해 9월, 경남지역의 진보여성단체 20여개 단체들이 모여 ‘평등정치 실현을 위한 경남여성연대’를 발족, 이번 지방선거에 여성정치참여를 확대시켜 평등한 지방정치로 만들어 갈 것을 목표로 각 도당과 간담회를 개최해 여성후보의 적극적 발굴, 공천, 경선 등을 요구하였고 또 소속단체별로 여성후보 발굴, 토론회, 유권자 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하지만 5.31 지방선거 후보자들의 윤곽이 들어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이번 선거에서 여성후보는 너무나 저조한 실정이다. 이번 개정된 공직선거법에서는 선출직 30% 여성공천할당 권고 조항이 있음에도 선출직에서 여당은 여성후보가 1명뿐이고, 경남지역을 거의 싹쓸이 했던 거대야당은 5명이라고 한다. 진보정당은 지역구 여성후보 20% 할당제를 당규로 강제적으로 규정해 그나마 8명이 후보로 확정이 되었다. 여당과 거대야당은 여성후보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겠다고 해 놓고 이런 한심한 작태를 보이고 있다. 비례후보의 경우에는 각 당들이 권고사항을 지킬 것으로 보이나 특별 당비를 내겠다고 한 후보가 결정되는 등 잡음이 일고 있다. 돈 있는 여성만 비례후보가 된다면 왜곡된 지방정치를 제대로 바꾸어 나갈 수 없다고 생각된다. 여성의 정치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왜곡된 정치문화 즉 금권선거, 지역주의, 패거리 정치에서 맑은 정치, 풀뿌리, 생활정치로 정치문화를 바꾸어 나가야 한다. 또 선출직의 여성할당제 강제조항, 동반당선제 등 정치제도를 바꾸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여성유권자들의 생활정치의 적극적 참여와 여성의제 발굴, 제대로 된 후보의 선택도 함께 풀어가야 할 문제이다. 경남여성회 회장 이경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