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일부 빗물고임 큰 문제 아니다” 본격적인 장마철을 한 달여 앞두고 주요 간선도로와 상습침수구간에 대한 배수시설 개선 등 대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평균 103mm의 폭우가 쏟아진 지난 6일 시내 주요 간선도로는 배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도로 곳곳이 침수되는 등 때 아닌 물난리가 일어났다.상습침수구간인 북정동 일대는 물론 어곡공단에서 물금으로 연결되는 지방도 1077호선 및 신도시지역 일부 도로에도 빗물이 빠지지 않아 차량과 보행자들이 통행에 큰 불편을 겪었다.특히 해마다 물난리를 겪는 북정동 부성주유소와 굴다리 일대는 빗물이 발목까지 차올라 도보통행이 불가능한 정도였다.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부성주유소 일대는 인근에 있는 고분군에서 빗물이 우수박스를 통해 유입돼 침수가 빈번히 발생한다”며 “지난 4월 고분군 일대의 우수를 북부천으로 돌리는 우수관공사를 진행 중이며 내년 2월 완공 될 것”이라고 말했다.하지만 부성주유소 일대에 대한 배수대책을 제외하면 다른 도로에 대한 뾰족한 배수대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시 관계자는 “현재 우수관 공사가 진행 중인 부성주유소 일대를 제외하면 일부 도로에 굴곡으로 인한 빗물고임 현상이 있지만 큰 문제가 있는 도로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북정동 일대를 제외하고도 시내 도로 곳곳에서 배수가 이뤄지지 않아 옆 차가 튀긴 고인 빗물로 인해 운전자들의 시야를 가리고 보행자가 피해를 입는 등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음에도 시 관계자의 이같은 답변은 현재 도로상황에 대한 파악은 제대로 되어 있는지 의구심이 드는 대목이다.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장마는 내달 20일경 시작돼 1개월가량 계속 된 뒤 7월 중순부터 장마전선의 영향권에서 벗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올해는 6~7개의 태풍이 발생해 이 가운데 1개 정도가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해마다 장마철이나 태풍이 불어 닥칠 때마다 침수피해를 입고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식’의 복구만을 반복할 것이 아니라 도로상황과 여건을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