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 지방선거 공식선거운동 기간이 성큼 다가오면서 각 후보들이 바쁘게 움직이고 있지만 정작 투표에 참여해야 할 장애인들은 투표 참여를 하고 싶어도 앞이 막막하다. 다행히 선거 때마다 제기되어온 장애인 투표권 보장 문제로 2층에 위치한 투표소는 상당 부분 1층 투표소로 전환되었지만 여전히 투표소로 가는 길은 각종 턱과 위험한 도로 사정으로 장애인들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1층에 위치한 투표소라고 해도 낮은 계단을 통해 진입해야 하는 곳이 대부분으로 현재 장애인 경사로가 설치된 투표소는 전체 59개소 가운데 27개소에 불과해 전체 절반이 채 되지 않는다.선관위는 장애인들을 위해 장애인 경사로가 설치되지 않은 투표소 가운데 15개소에 임시경사로를 설치할 예정이지만 장애인들을 위한 배려가 부족한 도로 상황은 장애인들이 투표를 위해 쉽게 집을 나설 엄두를 내지 못하게 하고 있다. 중앙동 1투표소인 중앙동사무소는 관공서 설치 규정에 따라 장애인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지만 투표소가 2층에 위치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이 투표소에 들어가려면 1층에만 설치되어 있는 경사로의 의미가 무색해지는 실정이다. 선관위는 장애인들을 위해 각 투표소마다 2명씩 유급자원봉사자를 운영하고, 학생들로 구성된 투표도우미를 활용할 계획이지만 장애인 투표 안내와 관련한 교육 관련 프로그램은 미비한 실정이어서 자원 봉사 학생들이 지난 선거 때 장애인들을 어떻게 도울지 몰라 헤메는 모습을 보이곤 해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웅상읍 14, 15, 16투표소인 덕계초등학교 앞은 번화한 간선도로변에 위치해 인도와 차도 모두 복잡한 상황이어서 장애인들이 덕계초까지 진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다른 투표소 역시 비장애인들이 접근하기 좋은 위치에 있지만 장애인들의 보행이 고려되지 않은 도로 사정 때문에 장애인의 투표권 보장을 위한 대책은 ‘그림의 떡’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시 지체장애인협회 박창수 사무국장은 “관공서에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다고 하지만 대부분 경사도나 규격면에서 규정을 위반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시각장애인의 경우 점자보도블록이 보행로와 차로가 구분되지 않은 채 차로 한 가운데 위치한 것도 장애인들의 접근을 막고 있다”고 말했다. 선관위는 장애인 투표권 보장을 위해 자원봉사자의 활용 이외에도 읍·면·동별로 차량 1대씩을 배치, 운영키로 하는 등 장애인투표편의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투표권을 보장하기 위해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것이 박사무국장의 말이다. 선거보도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