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부산-양산 경제통합 양해각서 체결..
사회

부산-양산 경제통합 양해각서 체결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6/05/12 00:00 수정 2006.05.12 00:00
열린우리, 동남권 경제통합특별법 추진

열린우리당 부산, 양산 시장 예비후보들이 '동남권 경제통합체 추진'을 선언했다.

지난 8일 열린우리당 오거돈 부산시장 예비후보와 정병문 양산시장 예비후보는 기자회견을 가지고 부산과 양산 경제생활권을 하나로 묶는 경제통합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김해를 포함한 '동남권 경제통합특별법' 제정을 추진키로 했다.

기자회견에서 정후보는 경제통합 추진 배경과 관련해 "한나라당에서 양산을 50만 자족도시로 키우겠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글로벌 시대에 맞는 부산과의 경제협력 체계가 더욱 현실성 있는 대안"이라며 정책적인 차별을 꾀했다.

또한 "행정권역의 통합이 아니라 경제통합은 양산의 대외지명도와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투자 및 공공기관 유치, 교육환경 개선 등 실질적으로 하나의 생활권을 가지고 있는 양산과 부산 상호간 협력체계를 마련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날 체결한 경제통합 양해각서는 시범적으로 ▶권역내 버스배차시간 확대 및 할증요금 폐지 ▶광역순환교통망 조기개통 ▶부산-양산 지하철 연장 및 조기개통 ▶고속도로 부산요금소 양산 이전 ▶산업단지 입지문제 해결과 역할 분담 ▶사찰 및 산성 관광 연계정책 등 양 지역의 시민들과 밀접한 생활 편의 분야를 1차 사업 분야로 추진한다는 구상을 담고 있다.

양산의 생활권역은 부산과 가깝지만 행정권역이 경남에 속해 있어 생활권과 행정권이 다른 불편을 겪으면서 선거 때마다 부산과의 통합론이 일곤 했다.

하지만 행정권역의 통합은 경남과의 협의가 필요한 사항이며, 단순한 행정권역 통합은 양산에 각종 혐오시설을 이전하는 결과만 낳을 뿐이라는 지적이 있어 왔다.

정후보는 이번 경제통합 양해각서 체결과 관련해 "행정권역 통합이 아니라 경제생활권의 통합이라는 측면에서 부산과 양산 시민들이 모두 실질적인 혜택을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기자회견에서 두 후보는 "지금까지 한나라당 출신의 단체장들은 부산신항 명칭결정, 동남권 산업클러스터, 매리공단조성문제, 부산대학교 제2캠퍼스 이전 등의 사례에서 보듯이 한결같이 소모적인 대립으로 시간을 보내거나 문제해결을 중앙정부에 떠넘기는 사례가 빈발하였다"며 "광역적 협력을 위한 정치적 리더십이 절실한 시점에서 갈등과 대립으로 시간을 보낸 것이 한나라당 지역단체장들의 모습"이라며 대립각을 세웠다. 

한편 동남권경제통합체의 대상인 김해 이봉수 시장 예비후보는 경제통합과 관련해 지역 여론이 행정통합으로 갈 것이라는 반대가 있어 기자회견에 참석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