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가 경부고속도로 확장에 따른 양산IC 이전에도 불구하고 7개월동안 기존 시설물들이 방치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관련기사 본지 120호, 2006년 2월 17일자 보도>지난해 11월 14일 개통한 양산IC는 개통 과정에서도 크고 작은 부분에서 시와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각종 주민 불편 사항은 물론 이전안내 미비, 양산IC 연결고가도로 문제 등의 논란을 빚어왔으며, 개통 이후에도 기존 양산IC 부산방면 재개통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끊이질 않았다. 특히 경부고속도로 확장사업으로 인한 소음, 분진 등 생활민원은 물론 양산IC 접속구간 고가도로를 둘러싸고 시와 도로공사간에 법정시비를 주고받을 정도로 마찰이 이어졌다. 한편 경부고속도로 확장개통 이후 기존 IC 시설물들이 도시 미관을 헤치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어왔지만 시설물 관리를 맡고 있는 한국도로공사 양산지사는 중앙본부의 지침이 없다는 말만 되풀이한 채 기존 양산IC를 방치해 왔다. 북정동에 위치한 기존 양산IC에는 2층 영업사업소 건물과 매표소 등 관련시설물이 변함없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현장 취재 결과 영업소 1층은 잠겨있었지만 컨테이너박스로 되어있는 2층 가건물의 경우 ‘문서창고’라고 표시되어 있는 곳의 문이 열려 있었다. 창고 내에는 수입금 관리대장, 긴급차량영상확인서, 운행사실확인서, 각종 공문철, 일지 등 도로공사가 사용한 문서들과 최근 2005년도 자료까지 어지럽게 널려 있었다. 문제는 관리되지 않고 있는 문서 가운데 개인신상정보가 담긴 문서까지 있어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성명은 물론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 차량번호 등 개인신상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들이 7개월 동안이나 방치되고 있었던 셈이다. 이 사실에 대해 도로공사 양산지사 관계자는 “기존 영업소에서 사용하던 일부 문서들 가운데 폐기기한을 넘겨 사용하지 않는 문서들이 미처 폐기되지 않고 남아 있었던 것 같다”며 “확인 후 즉시 폐기조치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달 중으로 기존 시설물을 철거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양산지사 관계자는 철거 이후 부지활용 방안에 대해서는 “현재 아무런 계획이 없다”고 밝혀 철거 이후에도 양산IC는 여전히 도심 내 흉물 지역으로 장기간 남아 있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