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상습적인 교통체증을 빚은 영대교를 확장하고 양산천의 밤을 수놓는 명물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사업비 분담에 대해 토지공사와 합의점을 찾지 못해 향후 사업 추진에 난항이 예상된다. 시는 지난 5일 영대교를 현재 2차로(길이 181m, 폭 10m)에서 6차로(길이 182m, 폭 36m)로 확장·재가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야간경관조명을 설치해 양산천을 가로지르는 명물로 만들 것이라며 지난 4월 동부건설(주)과 계약을 체결하고 사업에 들어갔다. 시 계획에 따르면 영대교 확장·재가설에 필요한 사업비 300억원은 시가 100억원, 토공이 200억원을 각각 분담해 사업비를 조달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토공은 사업비 분담에 관해 합의된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시는 실시설계비와 보상비 33억원, 우선사업비 10억원을 투입하여 사업을 착공한 상태다. 하지만 토공 관계자는 “시와 사업금 분담 비율에 대해 협의된 바가 없다”며 시가 밝힌 사업비 조달 방안에 대해 난색을 표하고 있다. 또한 “현재 신도시 사업이 연약지반조성 등으로 추가 사업비가 소요되고 있다”며 시의 입장과는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전체 사업비의 2/3를 부담해야 하는 토공이 시와 다른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시 관계자는 여전히 “사업 추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말로 일관하고 있어 사업비 확보에 대한 명확한 설명없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시는 지난해 경부고속도로 양산IC 접속도로구간에 대해 도로공사를 상대로 공사중지가처분 신청을 했다가 패소해 ‘뒷북행정’이라는 비난을 받은 바 있다. 또한 영대교 확장 사업 역시 지난 2003년 확장 계획 수립 이후에 토공과 분담금을 둘러싸고 줄다리기를 벌여오면서 사업이 지연되었다. 도시팽창으로 교통 문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정작 시의 도로 행정은 ‘주먹구구식’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