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CP시스템(이하 HACCP) 은 학교급식의 식단작성, 식재료 선정, 검수, 조리 등 전 과정에서 위해물질이 혼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공정별로 중점 관리기준을 정해 각 항목을 체크하면서 관리하는 체계를 말한다. 하지만 HACCP이 자리 잡기 위한 급식소의 시설이 수반 되는지와 형식적인 점검에서 머무르지는 않는지가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HACCP은 전처리실(식 재료를 다듬는 전 처리 공간), 세척실, 식품 창고 및 노후 기구 교체 사업이 이뤄져야 각 공정상의 위해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53곳의 초·중·고 중 1억 800여만원을 투자해 올해 초 급식소 현대화 사업을 완료한 삼성초와 올해 신설된 신양초, 북정초, 신주중, 서창중, 물금고가 구역별로 나눠져 HACCP이 정착할 수 있는 요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해요소의 차단을 위한 전처리실을 갖춘 곳은 32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삼성초 이언주 영양사는 “지금은 HACCP기준에 맞게 점검되고 있으나 이전에는 급식소의 노후화로 구역별로 나눠져 있지 않아 기준에 맞게 점검이 되지는 않았다. 급식 안전을 위해선 형식에 그치지 않는 철저한 점검과 시설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시설은 장기적인 계획에 따라 개선되고 있으며, HACCP도 형식적인 점검이 없지는 않으나 개선되고 있다”며 “안전한 급식을 위해 학교는 수동적이고 형식적인 선에서 그치면 안 되며, 자체적인 협의를 거쳐 능동적으로 각 학교에 맞는 시스템으로 응용, 발전 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고 당부했다. 하지만 HACCP이 자리 잡더라도 식자재 자체의 중금속, 잔류 농약 등의 문제 파악은 어렵기에 식자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식품의 원산지나 생산이력을 추적하는 식품이력 추적제도를 하루 빨리 도입해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교육청 관계자는 “선진국에서는 이미 실시하고 있지만 원제품 생산 공정부터 체계적인 시스템이 자리 잡아야 하기에 실현되기에는 아직 먼 현실이다”며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학교별로 업체의 신뢰도를 높이고 각 유통과 원재료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식품업체 방문을 수시로 해야 할 것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