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빼앗긴 우리 보물 되찾자"..
사회

"빼앗긴 우리 보물 되찾자"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6/08/11 00:00 수정 2006.08.11 00:00
국보급 유물 800여점 일본박물관 전시ㆍ보관
유물환수 범시민운동, 체계적인 방안 필요

일제시대 국외로 유출된 시의 국보급 유물을 되찾기 위한 환수 운동이 오는 삽량문화축전 기간을 거쳐 범시민운동으로 본격화될 전망이다.

시와 문화원은 이번 삽량문화축전 기간 동안 북정고분군(사적 93호)에서 일본으로 유출된 국보급 신라 금동관과 구슬, 토기, 순금귀걸이, 화로 등 800여점을 시민의 품으로 돌려받기 위한 범시민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일본 동경국립박물관에 전시ㆍ보관되어 있는 유물들은 1920년 당시 조선총독부 고적조사위원 우마즈카 제이치로(馬場是一郞)와 총독부 기수 오가와 케이키치(小川敬吉)가 발굴을 담당해 발굴보고서까지 만들었다.

특히 신라 금동관은 우리나라 고분군 발굴 사상 최초의 일로 기록될 정도로 가치있는 유물로 알려졌다.

이미 지난 1997년 유물환수 운동을 위해 문화원 관계자들이 한 차례 일본을 방문해 국립동경박물관을 찾은 바 있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문화원 관계자는 "박물관에 전시 중인 유물들을 사진조차 찍지 못하게 하는 일본측의 태도에 분노했다"며 "이번 삽량문화축전을 계기로 어렵게 구한 유물 사진 전시회를 통해 시민 공감대를 형성해 차근차근 환수 운동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시는 북정고분군 일대와 고향의 봄 동산 조성 사업을 연계한 북정고분군 공원화 사업을 추진 중이다. 현재 동아대 박물관의 통합용역보고가 끝이 난 상태이지만, 문화재청이 추가 유물 발굴 가능성을 두고 개발된 고분 아래 지역만 개발할 것을 요청한 상태여서 복원계획이 조정될 전망이다.

공원화 사업 가운데 특히 유물전시관은 1990년 동아대 박물관이 발굴한 1천3백여점의 유물과 더불어 일본에 유출된 유물을 전시한다는 계획이어서 환수 운동의 성공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유물 환수 운동은 삽량문화축전 기간 동안 유물 전시회 와 서명 운동을 전개한다는 방안만을 마련했을 뿐 구체적인 환수 절차 및 유물 현황 등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실질적인 성과를 남기기 위해서는 다각적이고 구체적인 환수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회성 이벤트로 환수 운동이 끝나지 않고 빼앗긴 유물을 시민의 품으로 돌려받는 성과를 거두기 위해 전담 사무국의 설치까지도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문화원 김규봉 사무국장은 "유물 환수는 최근 시민들의 노력에 의해 성공 사례가 이어지고 있지만 국가 간의 어려운 문제"라며 "관이나 특정단체가 아닌 시민들을 주체로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