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가유공자 예우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국가유공자로 규정된 순국선열, 애국지사, 전몰군경 등에 대한 지원은 주로 국가보훈처 담당이라는 인식이 퍼져 특히 기초단체의 경우 예산의 우선순위에 밀려나기 십상이라는 분석이다.
시는 올해 주요 보훈관련 예산으로 보훈회관 건립 12억여원, 현충탑 건립 9억5천만원, 전몰군경유족회 양산시지회 등 9개 보훈관련단체 사회단체보조금 9천여만원 등 22억4천여만원을 편성했다.
또한 지난 4월 <양산시 폐기물 관리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시의회를 통과해 그동안 쓰레기봉투를 무료로 제공해왔던 기초생활수급자와 장애인 외 국가유공자에게도 쓰레기봉투를 무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되어 830명 국가유공자들이 혜택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시는 내년에 6.25 참전기념비 조성 사업(2억원), 현충탑 주변 정비사업(3억원), 국가유공자 묘지 안내판 재정비 사업 등을 계획하고 있다.
하지만 시의 보훈관련 사업이 시설물 건립이나 보훈단체 운영비 지원 등으로 국한되어 있어 지역 내 독립투사 발굴, 기념사업 등 지역 특색을 살릴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다.
양산은 이미 독립유공자 가운데 인정된 서병희, 윤현진 선생 외에도 지역에서 활발히 독립운동을 펼친 지역 인사들 가운데 조명을 받지 못한 분들이 상당수여서 이를 위한 연구 활동 지원과 기념 사업 등이 고민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13일 양산 자연인의 모임(회장 안경일)은 양산지역 항일독립운동가 류경문, 김상문 등 8명에 대한 공적자료를 발굴, 국가보훈처 울산지청에 포상신청을 한 것처럼 민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독립유공자에 대한 연구 활동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문화원 관계자는 "윤현진 선생은 지난해 생가터에 표지판을 세우고 자료전시회를 개최하는 등 나름의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여전히 기념사업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나머지 독립투사 등 국가유공자에 대한 사업은 여전히 제자리 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