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 따르면 지난해 차세대 기계부품 클러스터 기술혁신센터 건립을 '2006년 지역혁신산업기반구축사업'으로 선정되도록 산업자원부에 요청했으나 지난 6월 15일 열린 평가회의에서 탈락했다고 밝혔다.
비공개 평가로 열린 2006년 지역혁신산업기반구축사업 선정 평가회의는 전국에서 올라온 25개 사업에 대해 사업의 필요성과 적합성, 사업운영계획의 적정성, 지역발전 수준과 지자체의 추진의지 등의 항목으로 평가가 진행됐다.
이 가운데 시가 제시한 연구센터 건립위주의 기술혁신센터 건립계획은 지역산업의 고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차세대 반도체와 나노생물소재 등 연구센터 건립이 아닌 특화된 산업에 대해서만 지원한다는 정부의 지원계획과 달라 탈락했다는 분석이다.
최근 전국적으로 기술센터가 너무 많이 건립됐고, 무분별하게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지역혁신산업구축사업에 효율성을 꾀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또 기술혁신센터 예정부지가 부산대 양산캠퍼스 내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도 하나의 걸림돌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자원부의 입장에서 학교부지에 기술센터를 설립할 경우 향후 소유권 문제로 말썽을 빚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기술혁신센터는 시의 산업구조 개선과 대외경쟁력 강화를 위해 꼭 필요한 시설"이라며 "계획을 재검토해 2007년도 사업에 다시 응모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최근 산업자원부의 산업선정평가위원회가 기술혁신센터 건립을 지양하고 있는 분위기인 것으로 알려져 사업신청 내용의 보강이나 사업 자체의 변경이 이뤄져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아울러 사업 부지를 대학 캠퍼스에서 타 지역으로 변경할 경우에도 부지매입에 따른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문제 등이 기술혁신센터 건립계획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시가 추진키로 했던 기술혁신센터 구축사업은 15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시의 정책적 지원과 지역 대학의 지식기반 정보지원을 통한 기업맞춤형 연구개발 지원, 기술고도화 기술지도 이전사업, 산학협력 혁신체제 구축, 산업체 지원 공동장비 구축사업 등을 수행하는 것을 골자로 한 사업이다.
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동력으로 사업을 추진해 녹산이나 울산 등 인근 국가산업단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국가의 지원이 부족하고 중소기업 위주의 취약한 산업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시 산업구조의 체질개선을 이룬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