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지역 미분양 아파트가 늘어나면서 지역 부동산 경기가 급속도로 위축되고 있다. 경남도에 따르면 양산은 6월말 현재 미분양 아파트가 2천910세대로 집계되었다. 지난 4월 3천115세대로 기록한 이후 다소 미분양 아파트가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지난해 2천여세대에 비해 1천여세대 증가한 미분양 아파트가 여전히 분양시장에서 물량을 소화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지난 4월 착공과 더불어 신도시에 526세대 규모로 분양을 계획하고 있던 동문건설이 분양계획을 연기하고 사업을 중단하는 사태가 벌어져 공사까지 착공한 공공주택 사업자가 분양을 연기하는 첫 사례로 기록돼 미분양으로 고심 중인 다른 업체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동문건설의 분양 연기는 미분양 아파트가 넘쳐나는 상황에서 내린 고육지책이라는 것이 부동산 업계의 분석이다.신도시 지역 한 공인중계사는 "아직은 분양가 수준에서 매매가가 형성되고 있지만 미분양 아파트가 계속 늘어날 경우 분양가보다 매매가가 낮게 형성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며 급속하게 냉각된 부동산 경기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한편 시는 수요보다 공급이 넘쳐 미분양 사태가 장기화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지난 5월 '사업계획 사전결정제도'를 도입키로 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침체된 부동산 경기를 회복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사업계획 사전결정제도'는 주택건설사업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미개발택지 내에 아파트 허가를 사전에 심의해 결정한다는 것이다. 아파트 공급이 과잉현상을 빚고 있는 것이 시가 무분별한 아파트 건축 허가를 내준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의식한 셈이다. 20세대 이상 1천세대 이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사전결정제도는 도입 이후 현재까지 신청된 건수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미분양 아파트가 속출하면서 부동산 경기가 위축된 것은 투기과열지구 지정 이후 냉각된 투자 심리와 공급을 초과한 아파트 분양 시장이 맞물려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 부동산 관계자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한편 현재 양산에서 신규 아파트 분양을 진행하고 있는 곳은 모두 7개 업체 5천846세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