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구역상 경계 허물어야지난 5.31지방선거에서 시의원 나 선거구(상·하북, 동면)에 출마를 선언했던 한 후보가 시민운동에 전념하겠다며 출마를 포기해 눈길을 끌었다. 이 후보는 당시 “고속철 역사명 변경을 위한 시민운동의 목적을 달성키 위해 시의회 진출을 희망했으나 지역 내 후보 난립으로 인한 과다경쟁 등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우려에서 출마를 포기 한다”고 밝혀 세인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 주인공이 바로 ‘경부고속철 울산역 이름 울산역(통도사) 결정 추진위원회’ 김진동 위원장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 2003년부터 고속철 ‘울산역’을 ‘울산역(통도사)’로 바꾸자며 청와대와 건교부, 양산시와 시의회에 건의하는 등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던 일에 사재를 털어가며 매달렸다.그 결과, 시의회가 역사명 변경 건의문을 채택하는 등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이후 대시민 서명운동으로 발전하는 등 관심을 끌고 있다. “‘울산역’에 ‘(통도사)’를 넣는 것은 지역이 서로 상생하는 지름길입니다. 일부 울산시민들이 울산역에 무임승차하는 것이 아니냐는 오해를 하는데, 이는 오히려 두 지역의 경제발전을 이끄는 초석이 될 것입니다”김 위원장은 지금은 행정구역의 경계를 허물어야 할 시기라며 이 문제가 경상남도 시장·군수협의회의 안건으로 상정됐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역사명 변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울산, 양산, 경상남도의 합의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이다. 최근 김 위원장은 소공원 명칭 부여 운동도 추진하고 있다. 통도사 삼문 앞에 조성된 소공원에 ‘땅바우’라는 명칭을 부여하자는 것이다. 이름 없는 소공원에 양산 고유의 지명을 명칭으로 부여하자는 이 건의는 하북면의 검토를 거쳐 현재 시에 보고된 상태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김 위원장은 “제가 이름 없는 공원에 이름을 달아 생명력을 부여하듯 시민신문도 양산에 생명력을 불어 넣을 수 있는 신문이 됐으면 합니다”라며 창간 3주년을 맞은 본지에 축하 인사를 건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