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발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시 총예산은 3천644억7백여만원으로 재정자립도는 48.3%로 경남도에서 창원시(63.8%)에 이어 2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남도 평균인 30.4%를 훨씬 상회하는 수준으로 향후 복지계획에서 독자적인 사회복지정책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하지만 올해 사회보장비는 총예산의 10.9%인 398억8백여만원으로 사회보장비의 비율은 도내 하위 4번째로 사회보장비의 지출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재정자립도는 타 시군에 비해 높은 수준이나 사회보장비의 비율은 그에 상응하지 못해 적절한 대책이 요구된다.사회복지예산은 지난해 372억4천9백만원에서 올해 443억1천8백만원으로 약 70억원이 증가했으며, 분야별로는 행정, 저소득, 장애인을 합친 사회복지예산이 177억5백만원에서 221억5천3백만원으로 가장 큰 상승을 보였다. 올해 사회복지분야 예산 현황을 보면 사회복지가 221억5천3백만원으로 전체 예산의 약 50%에 해당하며, 아동복지 104억9천3백만원, 노인복지 88억5천7백만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사회복지분야별 예산을 국도시비로 나눠 살펴보면 총 사회복지예산 372억4천9백만원 중 국비가 137억6천3백만원, 도비가 57억6천6백만원, 시비가 177억2천만원으로 시비가 총 사회복지예산의 약 48%를 차지하고 있다. 세부분야별로 자세히 보면 행정, 저소득, 장애인분야의 예산인 사회복지예산은 국비가 88억5백만원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인복지는 시비가 68억4천2백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아동복지의 경우 국비와 시비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분석됐다.한편 시의 인구는 2005년 하반기 현재 22만2천299명으로 인구증감율은 전년대비 4.0%로 유입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노령인구의 경우 2000년 전체인구의 5.6%에서 2005년 7.1%로 증가, 5세미만 영유아 인구의 경우 2000년 8.7%에서 6.2%로 감소해 노령화와 저출산 경향이 뚜렷하게 분석됐다. 이에 따라 노인문제에 대한 대응과 영·유아보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성 부분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