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의 합병증감기의 합병증으로는 후두염, 기관지염, 모세기관지염, 폐렴, 중이염, 부비동염(축농증), 인두후부 및 편도주위 농양, 안와주위 봉와직염, 알레르기 비염, 천식 증상 악화 등의 질환으로 진행할 수 있다. ◆감기의 치료감기의 치료약은 근본적인 치료약이 아니다.감기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를 죽이는 약이 아직 감기 치료약으로 개발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감기는 환아 스스로 면역력이 획득되는 일주일 후에 호전을 보이며, 이렇게 획득된 면역력은 수년간 지속되어 같은 바이러스에 의한 재감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소아 감기에는 주로 증상을 완화하여 환아의 급성기 심한 증상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약을 사용하고 있다. 발열이 있을 때는 해열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며, 코막힘과 콧물 증상에 항히스타민제와 기침, 가래에 진해 거담제를 쓰고 있다. 환아에게 안정을 취하도록 하고, 신선한 과일 주스 등을 주어 비타민과 수분과 영양 공급에 신경을 써주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중요한 치료방법인 셈이다. 결국 감기는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바이러스의 전염 경로를 차단하여야 하는데, 구강위생과 손씻기 습관이 필수적이다. 소아 감기가 유행할 경우 단체 생활과 대중이 모인 장소를 피하여야 한다. 특히 면역이 약한 미숙한 어린아이나 질병을 앓고 있는 아이들은 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기가 확산되기 전 병원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예방접종을 받는 것 또한 독감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