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장사시설 규모 및 위치 적절성 재검토 방침시가 2009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양산시 종합장사시설 조성사업'이 용역 결과 발표 후 대상지 주민들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쳐 향후 사업 추진 과정이 주목된다. 시는 지난 해 사망인구 증가에 따른 묘지 수요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화장장을 비롯한 종합장사시설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사업비 1억5천만원으로 부산대학교 부설 도시문제연구소에 용역을 의뢰했다. 지난 8월 최종용역보고 결과 15곳 대상지를 놓고 부지특성, 환경성, 개발용이성, 접근섭, 관련법령 등을 검토한 결과 원동면 화제리와 동면 가산리 일대가 최종 후보지로 선정되었다. 하지만 용역결과를 시의회에 보고한 이후 시의회에서 후보지 선정과정의 투명성과 종합장사시설 규모 등에 대해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사업 추진이 난항에 빠졌다. 또한 최종 후보지로 선택된 2곳의 주민들이 장사시설 예정지로 자신들의 마을이 거론되자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고 나섰다. 원동면 화제리 주민들은 천혜의 자연환경을 가진 원동면에 혐오시설이 들어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관광개발 등을 통해 낙후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지 못할 망정 화장장을 유치하려 한다며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또한 동면 가산, 석산, 금산(삼산) 주민들은 이미 이 일대에 하수종말처리장, 쓰레기소각장, 지역난방공사, 분뇨처리장, 장례예식장 등 다른 지역에서 기피하는 혐오시설이 들어와 있는 가운데 종합장사시설을 유치하려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양 지역 주민들은 시에 탄원서를 제출하는 한편, 지역 출신 시의원과 함께 장사시설 유치를 강력하게 반대하는 입장을 전달하고 있어 용역 결과 이후 주민공청회 등을 통해 최종후보지를 선정하려는 시의 계획은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편 시가 계획하고 있는 종합장사시설이 9만평 규모에 35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것에 대해 시기상조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장사시설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하루 평균 3.5명의 사망률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인근 부산, 울산, 김해 등의 인구까지 고려한 대규모 장사시설 사업이 운영 적자를 기록할 경우 시에 재정적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는 만큼 규모의 적절성 역시 재검토되어야 한다는 여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