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능동적인 복지도시 되어야..
사회

능동적인 복지도시 되어야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6/10/13 00:00 수정 2006.10.13 00:00
지역사회복지계획수립 초읽기

시가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에 따라 마련한 ‘양산시지역사회복지 4개년 계획’ 수립이 초읽기에 들어가며 복지도시로서의 발돋음을 준비하고 있다.

시가 밑그림을 그린 4개년 복지계획을 살펴보면 중장기적으로 상당히 잘 짜여 있다.

저소득복지, 노인복지, 장애인복지, 여성보육복지, 아동청소년복지, 자원봉사 등으로 크게 구분이 되어 있고 각 부문도 중점과제와 세부 추진 사업으로 세분화시켜 놓았다.

시가 주요현안으로 추진할 사업으로는 사회복지시설 접근성 증진, 노인복지시설 개선, 경로당 기능강화, 청소년문화시설 공간 확보, 장애인 편의시설 정비, 여성문화사업 확충 등이 있다.
하지만 정말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그럴듯한 계획보다는 실현가능한 중장기 계획 속에 시민들의 목소리가 얼마만큼 담겨 있는지가 중요하다.

시민들은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의 서비스 보다는 실질적이고 피부에 와 닿은 복지 서비스를 원하고 있는 것이다.   

부산대학교 사회복지 연구소가 지난 6~7월 일반주민 960가구를 대상으로 시의 사회복지상태를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응답자의 19.4%가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답했으며, 조금 낮은 수준이라는 응답은 40.1%, 보통이라는 34%인 반면 복지상태가 조금 높은 수준이라는 응답은 3.8%, 매우 높은 수준이라는 응답은 0.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급속도로 팽창하는 도시발전에 맞춰 복지수준이 점차 향상되고 있지만 시민들이 체감하는 복지수준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장애인 복지시설만을 살펴봐도 갈 길이 멀다. 바람을 쐬러 집 밖을 나서도 막상 갈 곳이 없다는 장애인들을 위한 장애인복지회관은 전무한 실정이며, 휠체어를 타고 잠시 외출할 때에도 기준치를 훌쩍 넘는 인도의 턱을 올라갈 수 없어 매일 위험한 차도에 목숨을 맡긴 채 아슬아슬한 횡단을 하고 있다. 인도 턱의 기준이 2cm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인도들이 10~30cm를 제멋대로 넘나들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시와 시민이 짊어지고 나아가야할 복지과제는 너무나도 산적하다.    
모든 시민이 바라는 복지사회를 실현시키기 위해 작은 발걸음을 부단히 내딛어야 하는 것이 현주소다.

무엇보다도 시민들은 다양한 복지욕구의 목소리를 능동적으로 시에 전달해야 한다.
천안의 경우 16개의 복지관련 시민단체들이 복지세상을 열어가기 위해 참여예산복지네트워크를 결성, 각종 토론회를 펼치며 지자체를 움직이고 있다. 2003년에는 시장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정책 토론회를 벌인 결과 그해 정신지체자 진료센터가 건립되기도 했다.

이렇든 요구된 시민들의 목소리를 시가 보다 효율적이고 적절하게 해결방안을 모색해 실현시키는 것이 가장 이상적으로 복지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앞으로 양산이 꿈꾸는 복지도시라는 큰 집 안에서 시민들이 얼마만큼 편리하고 질 높은 삶을 향유할 수 있을지는 시와 시민이 함께 하는 노력에 달려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