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변경 인가, 건축허가 얻어
시외버스터미널 이전사업이 이번 변경인가와 건축허가로 본격화됐지만 사실상 이 사업은 10여년이 넘는 세월동안 표류해 왔다.1994년 이미 신도시 1단계 지역 내 9만5천여㎡ 부지에 시외버스터미널 예정 지를 확보했으나 시와 (주)경남버스,토지공사 등 당사자들의 입장이 엇박자를 이루면서 사업이 장기간 늦춰졌다. 1998년 토지공사는 (주)경남버스를 우선 수의계약 대상자로 지목, 터미널 예정 부지를 감정가 평당 280만원가량인 약 86억원에 매각키로 했으나 (주)경남버스는 시와 행정협의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이유로 계약을 미뤄왔다. 더욱이 시와 토지공사도 급할 것이 없다는 입장이어서 사업이 지지부진했다. 시는 터미널 이전사업은 신도시 조성계획이 완성되고 교통여건의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이전시기를 결정할 사항이기에 급할 것이 없다는 입장이었다. 또 토지공사도 예정 부지에 터미널이 들어오지 않더라도 그 용지를 상업용으로 분양하게 되면 엄청난 이익을 볼 수 있어 소극적인 자세를 취해왔다. 이로 인해 그동안 시외버스터미널 이용객들은 좁은 부지와 낡은 시설에 대한 불만을 끊임없이 제기했고, 시의 관문인 시외버스터미널이 시의 이미지를 망친다는 문제가 수없이 제기돼 왔다. 하지만 (주)경남버스가 예정부지 매입 계약금으로 8억6천만원을 지급한데 이어 지난 3월 잔여금을 일시불로 완납하면서 이전 사업에 가속도가 붙는 듯했지만 다시 지난 6월 시가 구도심 상권위축과 슬럼화 등의 이유로 건축허가를 4개월째 보류하다 이번에 허가가 나게 됐다.
구도심 상권위축 대책 마련돼야
시시외버스터미널의 이전으로 신도시의 상인들이 상권 활성화의 기대에 부풀어 있는 반면 재래시장 상인들은 상권 위축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현재 터미널 부지에 지하3층, 지상8층 연면적 3천여㎡규모의 대형 쇼핑몰이 들어올 것으로 안다"며 "이 건물이 들어서면 터미널 이전으로 인한 상권타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도 시는 구도심 상권 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천일고속정류장~경남은행 4거리~시외버스터미널 구간에 차 없는 거리 등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가능성을 타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아직 현 터미널에 대한 매각절차가 진행 중인 상태라 사업 진행이 미지수로 남아 있는데다 시의 구도심 활성화 계획이 구상안에만 머물러 있어 재래시장 상권 활성화를 위한 보다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