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 중인 한의전문대학원 설립을 놓고 양산이 또 한 번 정체성 논란을 겪고 있다. 경남도에 속한 양산은 부산, 울산 등과 인접해 있을 뿐 아니라 검찰, 법원, 세무서, 방송 등 생활영역이 부산, 울산, 경남으로 쪼개져 있어 선거 때마다 부산 편입론이 등장하는 등 사실상 생활권이 부산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이런 지역 여론 가운데 한의대 유치를 놓고 경남도가 진주 경상대를 우회적으로 지원하자 양산의 반발에 부딪힌 것. 지난 2일부터 현지 실사에 나선 정부평가단에 도 고위공무원 일부가 수행한 것에 대해 부산대 한의학 전문대학원 양산캠퍼스 유치위원회(위원장 안윤한)은 "경남도가 중립을 지키기로 약속했으면서 정부평가단 방문에 공무원을 파견한 것은 약속을 저버리는 처사"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이에 대해 경남도는 "공무 수행 중 진주를 지나는 길에 잠시 들렀을 뿐 한의대 유치를 위한 활동을 벌인 일은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오래전부터 경상대가 한의대 유치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면서 경남도 역시 경상대의 한의대 유치를 위해 직ㆍ간접적인 지원을 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부산대가 뒤늦게 유치 경쟁에 합류하면서 부산대 제2캠퍼스가 조성 중인 양산은 경남도에 속한 자치단체이면서 지역 발전을 위해 부산대 유치를 강력히 희망하고 있다. 마산, 창원에 기반을 둔 경남 지역 언론들까지 양산이 뒤늦게 뛰어든 부산대를 위해 도민의 뜻을 저버리고 있다며 비난하는 칼럼을 게재하는 등 '경상대 밀어주기'에 힘을 실어주면서 행정구역은 경남이지만 부산생활권인 양산은 또 한 번 논쟁에 휩싸이고 있다. 유치위가 도세 징수 거부, 부산 편입 추진 등을 거론하며 경남도에 강력히 항의한 것도 '양산은 경남의 서자(庶子)'라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지난 2일 정부평가단은 부산대가 한의대 유치 장소로 선정한 양산캠퍼스를 방문, 실사를 거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