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교육청이 학교부지 문제로 마찰을 빚었던 양주초 앞 어린이 전용보도 조성사업이 결국 무산된 체 반쪽짜리 스쿨존이 만들어져 빈축을 사고 있다.당초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양주초 앞에 어린이 전용보도를 설치하기로 계획되었으나 현재 안전표지판, 미끄럼방지, 과속방지턱만 설치되고 지난 3일 공사가 마무리 된 것. 이는 시가 어린이 전용보도 부지를 조성하는데 있어 협소한 도로사정으로 인해 학교 앞 화단 일부가 보도조성부지에 편입되자 교육청측에 화단부지 기부를 요구하고 나섰고, 교육청은 시측에 부지를 매입할 것을 요구하면서 팽팽히 맞서왔다. 시는 '한정된 공사비로 인해 부지 매입은 불가능하므로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교육청이 한발 양보했으면 한다'고 기부를 주장했고 교육청은 '행정절차를 무시하고 협의를 보지 않은 채 공사 발주부터 해 공적재산을 기부하라고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매입을 주장했다.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해 시는 당초 양주초 스쿨존 예산의 일부를 용연초로 이전했다.이에 공사업체는 지난달 26, 27일 이틀에 걸쳐 용연초 앞 어린이전용보도를 정비하고 안전 펜스, 과속 방지턱, 반사경 등을 설치, 완료했다. 시 관계자는 "부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교육청에까지 협조공문을 발송해 봤지만 역시 대답은 '안된다'였다"며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은 분명 경찰서, 교육청, 시 3기관의 공동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마찰이 발생하고, 게다가 이런 마찰이 비단 양산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국적으로 일어나는 일이라고 하니 안타까울 따름이다"고 말했다. 이에 교육청 관계자는 "양주초 앞 화단은 지난 2003년 푸른숲 가꾸기 사업 때 이미 70여평을 활용토록 협조했던 부지이며, 지난해 동산초 스쿨존 사업 때도 시의 요구대로 학교부지를 양보했다"며 "교육청의 부지 기부를 당연히 여기는 의식과 행정절차를 무시한 공사 강행 등은 분명 시가 개선해야 할 문제이다"고 말했다. 하지만 예산부족과 행정절차를 문제 삼으며 반쪽짜리 공사로만 그친 양주초 스쿨존 문제로 시와 교육청 양측 모두 시민들의 따가운 지적을 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