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전문대학원 유치를 두고 양산시와 진주시 간 유치경쟁이 불을 뿜고 있다. 그런 와중에 중립을 지켜야 할 경남도가 일방적으로 진주시 손을 들어주는 일이 발생해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산추진위가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교육인적자원부가 파격적으로 지원을 해주는 한의학전문대학원 설립 공모를 냈다. 이에 부산대, 경상대, 경북대, 전남대 등 6개 대학에서 유치 신청을 했다. 그런 한편 진주시는 지난달 유치추진위원회를 출범시키고 범시민유치운동에 나섰다. 양산시에서도 지난달 17일, 추진위를 발족시켰다. 그리고 지난 2일,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양산시와 진주시로 실사를 나왔다. 그런데 문제는 양산시 실사 현장에는 모습을 보이지 않던 도에서 진주시 실사 현장에는 고위직인 행정부지사와 기획실장이 참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사자들은 지나가던 길에 잠시 들린 것 뿐이라고 해명했다지만 그 당위성이 옹색하기 그지없다. 이런 도의 형태에 양산 추진위는 어떤 저의가 있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갖고 있다. 그렇지 않고서야 도 주요간부가 한 사람도 아니고 두 사람씩이나 한 시간 이상 거리를 달려와 실사 현장에 왜 나타났겠느냐는 것이다.자고로 흥정은 붙이고 싸움은 말리라 했다. 그런데 싸움을 말리는데도 매우 조심해야 할 게 있다. 무작정 대놓고 일방적으로 어느 한쪽에 치우쳐서는 안 된다. 동네에서 이웃 간 사소한 일로 다퉜다면 동수 어른이 양쪽을 불러 전후를 세세히 알아보고 화해를 시킨다. 그리고 폭력이 발생한 다툼이라면 법으로 잘잘못을 가린다. 이처럼 사회에는 규범, 법 등으로 시시비비를 가린다. 그럼에도 경남도가 이런 상식을 무시하고 오히려 두 자치단체 간 싸움을 부채질한 행태를 보인 건 아무리 보아도 석연치 않은 구석이 있다. 모든 게임에는 룰이 있다. 심판은 그 정해진 룰에 따라 경기를 진행한다. 여기서 룰은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마련한 평가 기준이고 심판은 실사단이다. 그러므로 실사단은 어느 지역이 한의학전문대학원이 들어서기에 적합한지 기준에 따라 평가만하면 된다. 그러므로 이번 사안은 결코 도가 나설 일이 아니다. 상황이 이렇게 흘러가자 양산 일각에서는 ‘양산 서자론’이 회자되고 있다. 다시 말해 경남도가 양산은 늘 데려온 자식 취급한다는 것이다. 백 보 양보해 설혹 도가 한의학전문대학원이 진주시에 유치되었으면 하는 정책적 판단이라면 두 지역 추진위와 머리를 맞대고 협의하면 될 일 아닌가. 이처럼 공개적인 논의의 과정을 거치면서 대타협을 이뤄내야 할 조정자 역할인 도가 오히려 자치단체를 분열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런 사례는 또 있다. 건설교통부는 진주시를 혁신 도시로 선정했다. 그러나 경남도는 뜬금없이 혁신도시를 마산과 진주시 두 곳에 분할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런 도의 입장에 대해 마산시는 환호하는 반면 진주시는 아닌 밤중에 홍두깨라며 반발하고 있다. 지금도 진주시는 정부 안 대로 혁신도시는 전적으로 진주에 세워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반해 마산시는 김태호 지사의 공약을 철석같이 믿고 있다. 지금은 잠복 상태지만 혁신도시 건설이 구체적으로 진행되면 파문이 증폭될 것이란 우려다. 지금 시중에는 두 자치단체 간 과열 경쟁으로 인해 정작 양산과 진주는 헛물만 켜고 오히려 어부지리로 다른 지역 대학이 유리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므로 지금이라도 도는 두 지역이 룰에 따라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도록 저만치 물러나 있는 게 상책이다. 한의학 전문대학이 양산에 오건 진주에 오건 다 같은 경남 땅이다. 편집국장 한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