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인터뷰]“양산이라면 가능하다”..
사회

[인터뷰]“양산이라면 가능하다”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6/12/01 00:00 수정 2006.12.01 00:00
박성기-도 교육위원. 시 예산지원 의거 고3 문제 해결 열쇠

“고3 수능 이후 수업 파행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교육부의 제도 틀 속에서 변화를 추구하다 보면 분명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방안만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박성기 도 교육위원(사진)은 수능 이후 ‘교육 공동화 현상’ 해결방안에 대해 이같이 말문을 열었다.

“교육부와 학교에서 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리라 기대해서는 안된다.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지역사회 모두가 함께 손을 잡고 헤쳐 나가야 할 우리 아들·딸들의 문제이지 않는가?”

박 교육위원은 특히 양산시의 예산지원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열쇠’임을 시사했다.

“도내 타 지자체에 비해 양산시의 재정자립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기에 예산지원이 가능하다. 또 단합과 호흡을 맞추기에 적당한 수인 9개 고등학교가 있기 때문에 시가 주도해 다양한 특별 프로그램을 개발해 운영하기가 좋다 ”

덧붙여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역이나 학교 수가 비대하게 많은 지역에서는 실행하기 힘든 방안이므로 ‘양산’이기에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현재 고3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는 ‘양산시티투어’도 학생들과 학교, 학부모들에게 상당한 호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안다. 이같은 프로그램을 좀 더 다양하게 운영한다면 수능 이후 교육 공동화 현상을 지역사회가 앞장서 해결한 첫 번째 도시가 될 것이다”

또한 박 교육위원은 학교에 이미 마음이 떠난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자율성과 다양성이 보장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고3 학생들을 더 이상 학생이라는 범주에 가둬서는 안된다.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골라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다양성은 필수이다 ”

엄아현 기자 / coffeehof@   조경진 인턴기자 / jokkaeng@   이예슬 인턴기자 / yeaseul03@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