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예로 영산대는 지역 제조업 고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법률, IT, 무역물류, 부동산 등 기업경영을 지원하는 인재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기에 이제 백년대계를 꿈꾸며 명실상부한 상아탑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영산대 개교 10주년은 시민 모두가 축하하는 생일이어야 했다. 영산대는 양산에 자리 잡고 있으며 공동체 경쟁력 강화에도 나름의 역할을 하고 있는 양산 시민들의 대학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실 시민들은 영산대를 ‘우리 대학’으로 받아들이는 주인 의식은 크지 않은 것 같다. 이는 영산대 캠퍼스가 양산과 부산, 두 곳에 나뉘어 있고 양산 캠퍼스 또한 외곽인 웅상에 자리하고 있는 지리적 상황이 시민 정서에 미치는 영향일 것이다. 그리고 대학들이 학내 문제에만 치중, 그 지역 시민들과 교감하는 일에는 소홀했던 학계 풍토도 작용하고 있다. 그런 차에 영산대 부구욱 총장을 인터뷰하면서 시의 평생학습사업 동참 등 시민들이 영산대에 자긍심을 갖는 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주문했었다. 이에 총장은 영산대는 부·울·경 최초로 부동산학과 석·박사 과정과 변리사교육 과정을 개설하고 인도연구소와 베트남광장을 개설해 해외진출기업의 법률 서포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나아가 제품개발학과를 개설해 양산공단기업체에 노동집약 기업형태에서 벗어나 연구개발 중심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틀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그동안 생산적 협력관계를 가져야 했던 지자체와, 대학, 기업, 시민들이 서로 무관했던 게 사실이다. 수도권과 지역 간의 격차가 심해져 지역인재들이 수도권으로 유출되고 그것이 지역의 산업과 지역대학, 지역문화의 자생력을 약하게 만들어 결국 지역 공동화를 불러왔다. 이는 지자체와 대학, 기업이 상호협력 할 때 동반성장 한다는 인식을 못하고 나 홀로 길을 걸어온 결과이다. 예를 들면 행정은 교육은 별개의 특정 분야라고 생각하며 무관심했다. 기업은 대학의 연구수준을 불신하고 기업정보유출을 우려하는 반면 대학은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 배출은 소홀하면서 연구정보유출을 우려하는 식이다. 따라서 지자체는 각종 제도를 마련, 대학을 지원해야 한다. 대학에서 배출되는 인재를 받아 안을 기업체를 유치하고 전문성을 갖춘 대학 교수들이 시정에 참여하는 통로를 만들어야 한다.
대학은 정부나 교육부를 바라볼 것이 아니라 지역을 바라보며 지역연구를 통해 지역역량을 강화시키고 지역산업을 혁신시키는 데 인력과 연구 성과를 제공해야 한다. 21세기 기업의 경쟁력은 신기술이다. 그러므로 기업은 대학 연구소에 가감 없이 투자해 연구 성과물을 받아 안아야 한다. 또 시민사회단체와 시민들은 소지역 또는 단체의 이익이 아니라 지역 전체의 혁신에 주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이렇게 지역주체들이 산업클러스트와 지역 단위 거브넌스 구축을 통해 지역혁신을 추동해 낼 때 비로소 살기 좋은 양산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