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탄절에 가장 많이 부르는 노래는 ‘고요한 밤, 거룩한 밤’이다. 이 노래는 1818년 오스트리아 작은 마을에서 탄생되었다. 이 마을 교회에서는 성탄절에 상연할 연극을 청년들이 준비하고 있었다. 연기, 무대, 소품등 자신이 맡은 분야에서 최선을 다해가며 준비하느라 분주한 날을 보내고 있었다. 성탄절을 준비하던 어느 날 중요한 문제가 생겼다. 교회의 오르간이 고장이 나서 성탄축제에 지장이 생긴 것이다. 수리공을 불렀지만 부품을 구하지 못해 애를 태웠다. 백방으로 알아보았지만 수리공은 성탄절까지는 부품을 구할 수 없다며 고개를 저었다. 그 때 연극지도를 맡고 있던 성직자는 ‘모올’이었다. 그는 고민에 잠긴 채로 창 밖의 마을을 내다보고 있었다. 한쪽 마음은 답답하고 무거웠지만, 창밖으로 보이는 마을은 너무나 고요하고 아름다웠다.모올은 시를 적어본 적은 없었지만, 눈으로 뒤덮인 마을이 달빛에 빛나는 것을 볼 때 깊은 감동을 받아 한편의 시를 종이 위에 적었다. 그리고는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인 구루버 선생에게 달려갔다.“선생님, 오르간이 고장 났으니 선생님께서 이 시에 생명을 불어넣어 성탄제 때 기타로 연주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그 해 성탄절, 그 작은 교회에서는 모올이 쓴 이 한 편의 시에 곡을 붙인 음악이 기타로 연주되었다. ‘고요한 밤, 거룩한 밤, 어둠에 묻힌 밤, 천군 천사 일어나 감사기도 드릴 때, 아기 잘도 잔다. 아기 잘도 잔다’만약, 그에게 갑작스런 불행이 없었더라면 이 위대한 곡은 탄생하지 못했을 지도 모른다.원치않는 불행한 사건속에서 불후의 명곡이 나올 수 있었듯이, 우리의 힘든 삶 속에도 놀라운 희망의 에너지가 숨겨있다. 어렵고 힘들다고 해서 모든 것이 절망적인 것만은 아니다. 희망을 잃치말자.성탄은 희망이다. 희망을 갖고 한 해를 마무리하며 새 해를 맞이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