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뜩 움츠리기 쉬운 겨울철, 추위를 극복하면서 건강과 취미를 함께 할 수 스포츠 활동에 최근 관심이 지대해지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일반인들이 잘 접할 수 없었던 여러 스포츠 활동이 활성화되어 과학적 장비들이 보강이 되고 싸고, 쉽고, 안전하게 즐길 수 있게 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스포츠 활동의 증가로 스포츠 손상이 늘어나는 것도 사실이다. 겨울철 스포츠라 하면 먼저 스키나 스노보드를 떠올릴 수 있다. 하얀 설경이 펼쳐진 곳, 가족이나 연인들과 함께한다면 얼마나 즐거운 시간이겠는가. 이때 발목이 삔다든지 하여 누군가가 다치게 된다면 즐거움도 사라지고 오히려 걱정과 돌아와서의 직장 일까지도 영향을 끼치게 되는 낭패를 보게 된다. 최근 즐기는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스노보드로 인한 손상은 스키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왼쪽을 앞으로 내밀고 타는 특성으로 왼쪽에의 손상이 오른쪽보다 2배 많다. 손상의 대부분은 초보자 때 많이 나며 보호 장구가 없을 때 그 정도는 급증한다. 많은 골퍼는 겨울철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즐기는데, 골프를 시작하는 사람들은 손목, 팔꿈치손상을 주의해야 하며, 간혹 너무 강직된 상태에서 강하게만 볼을 임펙트 하는 체력 이상의 연습 때문에 늑골 골절이 되어 진료실을 찾는 분들도 있다. 실내외 기온차가 높고 추운 날씨에 근육들이 움츠린 상태에서의 손상은 위험이 배가되는 것은 누구나 잘 아는 사실이며, 기존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사후 약방문이라는 말도 있듯이 이러한 손상이나 예기치 못한 외상에 대비하는 예방책이 가장 중요하다. 본인의 건강상태, 체력, 나이 등을 고려해야 하고 시작 전·후 몸을 가볍게 풀어주어 근육이나 인대에 운동을 시작함을 알려주는 배려가 필요하며 안전장비를 반드시 갖추어야 하며 특히 겨울철에는 보온에는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또한, 초보자 일 때 손상 받는 경우가 많으므로 처음에는 전문가 지도로 바른 운동기술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다. 일단 사고가 발생하거나 손상을 받게 되면 안정을 시키면서 손상부위를 고정하여 추가적인 손상이 없도록 해야 하고 안전하게 환자를 이송해야 한다. 스포츠 손상의 관리에는 단 한 가지 치료로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없으며 특정치료에 대한 반응에는 개인차가 많아 집약된 효과를 얻도록 다양한 치료방법을 잘 조합해야 한다. 하루를 즐겁게 지내려다가 몇 개월을 고생하지 않게 작은 안전수칙부터 챙겨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