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출수 유출로 인해 논란을 겪어왔던 유산 쓰레기 매립장이 시가 운영하는 단일 체제로 정리될 예정이다. 또한 운영권을 놓고 갈등을 빚어온 (주)화원과의 문제도 시가 (주)화원이 가진 민간지분을 모두 인수하게 됨에 따라 시가 시민들의 쓰레기 수급을 위해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시에 따르면 (주)화원의 민간지분을 인수하기 위해 협상을 가져온 결과 최근 이자 지급 등의 이견이 해소되고, 시의회에 심의를 요청한 공유재산관리계획이 승인되면서 지분 인수에 탄력을 받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시는 민간지분을 취득하기 위한 예산이 내년 당초예산에 승인되는 데로 민간지분 양도·양수 협약을 체결하고 내년 2월 1차 중도금을 지급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오는 2008년 6월까지 민간지분 소유권 이전 등기를 완료할 예정이다. 시가 취득하게 되는 민간지분 등은 (주)화원의 잔여매립량 57만5천여㎥와 부지 38만7천여㎡(시설구역외 부지 포함), 건축물, 기계류, 영업권 등이다.시 관계자는 “시가 매립장의 민간지분을 취득하여 독자적인 운영이 가능해지면 양산의 쓰레기 수급량을 고려한 폐기물 처리가 가능해져 시민들에게 안정적인 쓰레기 처리 서비스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유산쓰레기매립장은 지난 1994년 7월 시와 (주)오양이 민관합동으로 290억원의 사업비로 유산동 산 120번지 일대 23만7천여㎡ 부지에 조성, 운영해 왔다. 이후 (주)오양의 지분이 (주)화원으로 넘어가면서 지난 2002년 7월 장마철 집중호우로 인한 침출수가 양산천으로 흘러들어가는 사건이 발생한 이후 복구방법과 책임 소재, 향후 복구업체 선정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어 오다 시가 (주)화원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하여 지난 7월 법원의 조정 판결을 받아 민간지분 인수에 탄력을 받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