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양산시민신문, 다시 처음처럼..
사회

양산시민신문, 다시 처음처럼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6/12/22 00:00 수정 2006.12.22 00:00

카타르 도하에서 열렸던 제15회 아시안 게임이 끝났습니다. 대회가 주로 한국시간으로 늦은 밤이나 새벽에 열려 스포츠 마니아들은 열흘 넘게 밤잠을 설치며 경기를 시청했습니다. 스포츠, 특히 탁구, 축구 애호가인 저도 애써 잠을 참아가며 선수단에게 응원을 보냈습니다. 그리고 지난 대회에 이어 종합 2위 목표를 달성했으니 그동안 부족했던 잠을 보상받았다며 스스로를 위안 했습니다. 또 불타는 투혼과 화합으로 기량 면에서 한 수 위라던 만리장성을 넘은 배구 경기를 보면서는 그동안 강세 종목이었으나 이번 대회에서는 거의 전멸하다시피 한 구기 종목의 부진을 애써 위로했습니다.

하지만 야구 경기만은 유감입니다. 국민들은 졸전 끝에 대만과 일본에 연패하는 모습을 보면서 ‘국치일, 치욕의 날’이라고까지 분해합니다. 대만이야 전력상 이긴다는 보장이 없었지만 아마추어 선수로 구성된 일본에 프로 선수로 구성된 우리 야구 대표단이 패한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납득이 잘 안갑니다. 물론 모든 경기는 이길 수도 있고 질수도 있다는 게 극히 상식이기에 결과만을 놓고 논하는 게 아닙니다.

야구팀 패배에 대해 스포츠 전문가들이 내놓는 분석에는 공통분모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우물안 개구리’입니다. 옛말에 ‘지면 한 짐’이란 말이 있습니다. 상대가 아무리 약해보여도 만만히 보았다간 낭패를 당한다는 조상님들이 남긴 경구입니다.

그런데도 국가 간 대항에서 선수들이 보여준 나사 풀린 듯한 투지력, 정신력은 나약하기 이를 데 없었습니다. 그렇게 경기에 대한 치열함이나 집중력이 없으면서 이기길 바란다면 그게 되려 이상한게지요.

그런데도 우린 ‘아시아 쯤이야’ 하는 오만을 가졌던 게 아닌가 합니다. 국제 대회인만큼 아니 어떤 경기든 처음처럼 임해야 했습니다. 우리는 무슨 일을 도모함에 있어 출발은 대의와 상식과 원칙에 충실합니다. 그런데도 지난 봄 WBC에서 4강에 진입한 성적, 프로선수라는 우월감으로 처음처럼을 망각하고 편견과 오만이란 불손한 마음이 싹 터 대사를 그르쳤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번 도하 아시안게임에서 처음처럼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배워야 합니다.

도하 아시안 게임을 보면서 본지를 생각했습니다.

양산시민신문은 한 해를 시작하면서 독자들이 맡겨주신 일 년, 8천760 시간을 은행에 예치했습니다. 그리고 이제 그 시간들을 다 써 갑니다. 그런 지금 본지는 과연 독자들에게 나아가 양산시민들에게 얼마나 충실했는지를 성찰합니다.

지역 정론지로써 대의와 원칙에 제대로 복무했는지도 자문합니다. 행여, 2년 연속 지역신문발전지원 대상사로 선정돼 명실상부한 언론다운 언론으로 평가받기는 했으나 그로인해 자만하지는 않았는지 반성합니다.

지역이 잘 돼야 지역신문이 잘됩니다. 그런 면에서 언론이란 비판성이 생리이지만 단순히 권력에 대한 감시나 비판에서 나아가 잘사는 양산을 위해 지역 의제를 선정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선진 언론의 역할에 제대로 부응했는지 깊이 고뇌합니다.

양산시민신문은 시민들이 양산을 바라보는 창입니다. 그러므로 시민들이 양산시민신문을 통해 양산을 온전히 인식할 수 있도록 새해에도 창을 닦고 또 닦겠습니다. 그 창은 현미경이 되어 행정과 의회와 시민사회를 들여다보며 생겨날지도 모를 병균을 방지할 창입니다. 때로는 소외되고 병든 이들을 들여다보며 세상의 온기를 전하고 또 더러는 천체 망원경 렌즈가 되어 양산의 미래를 앞서 조망해 볼 것입니다.

그리고 그 모든 것에 앞서 독자와 양산시민들에게 드리는 약속, 정론지를 갈망하는 시민들의 바람으로 본지가 태어난 그 마음, ‘처음처럼’입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