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자유무역협정(FTA)의 모범사례로 칠레를 주목한다. 한미FTA협상이 막바지로 치닫던 지난달 28일 알레한드로 폭스리 칠레 외무 장관과 아소 다로(生太郞) 일본 외무성 장관은 양국 간 FTA에 서명했다. 칠레가 맺은 20번째 FTA였다. 이로써 칠레는 북미와 남미를 잇고 유럽연합(EU)과 연결되며 한·중·일 등 세계 경제권을 FTA로 연결한 국가가 됐다. 지금 완전 개방된 칠레 시장에는 세계 각국의 상품이 넘쳐난다. 대한민국에서 20만원 상당의 유명 브랜드 의류를 10만원이면 살 수 있다. 1980년대 1인당 국민소득 2000달러 수준에서 지금은 8500달러 선을 넘었다. 98년 빈곤층 비율 45%였다가 지금은 20%대다. 또 한때 중남미의 FTA 허브를 자칭하던 멕시코와는 대조를 이룬다. 삼성경제연구소의 보고서에 의하면 멕시코의 실패는 내부 개혁 중단, 정치적 불안이 계속된 탓이라 한다. 부가세 부과를 골자로 한 세제 개혁은 야당의 반대로 무산됐고 노동법 개정과 전력산업 민영화도 표류 중이다. 노동생산성 증가율도 지난 10년간 10%에서 2% 이하로 지지부진하다. 칠레 미첼 바첼레트 대통령은 개방화, 민영화 정책을 계속할 것임을 밝혔다. 올해는 호주.베트남과, 내년에는 태국.말레이시아와 FTA를 체결할 방침이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지는 “칠레 경제가 늘어나는 수출에 힘입어 올해 5.4%, 내년엔 5.5%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칠레의 사례는 ‘웅상출장소시대’와 무관하지 않다. 지금은 지구촌 시대고 나비효과(태평양의 작은 나비 날개짓 하나가 대한민국 여름철 태풍과 무관하지 않다)를 필자는 믿는다. 웅상출장소시대가 열렸다. 변화의 물결이 웅상으로 빠르게 밀려오고 있다. 웅상출장소 개청은 ‘농촌형 지역사회’에서 ‘도시형 시민사회’로의 전환을 상징한다. 읍 소재지에서 동 단위로의 전환에 따라 우선 예산규모가 커질 것이다. 재산세 감면조치와 여러 세금감면혜택도 추진 중이다. 행정체계도 크게 변한다. 이런저런 외형적 변화가 당장에 눈에 띌 것이다. 하지만 눈에 보이는 변화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흐름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적응력이다. ‘농촌형 지역사회’에서는 땅이 생활의 중심이었다. 땅을 파먹고 살던 시대는 ‘핏줄’이 우선했다. 형님 아우님을 먼저 따졌고 ‘누구 집 아들이냐’가 중요했다. ‘도시형 시민사회’는 일방적인 상명하달의 권위주의 시대, 닫힌 세계와는 다르다. 시민들이 자치정부와 협력해서 정책을 도모하는 열린 시대, 거버넌스(협치)시대가 오늘날이다. 웅상지역을 도시형 시민사회로 바꾸겠다고는 하지만 현실은 여전히 농촌형 지역사회다. 지역시민의 10%대에 불과한 땅 중심의 닫힌세력이 거의 90%에 가까운 개방형 담론을 지배하고 있다. 여기서 내부 개혁에 실패한 멕시코를 떠올린다. 개방정책의 기본인 FTA 추진을 멈추자 경제는 더 불안해졌고 성장은 멎었다. 연평균 성장률 1.9%로 옛 멕시코로 주저앉고 말았다. 이에 반해 칠레는 경제적 강대국 사이에 낀, ‘샌드위치 신세’를 개방정책으로 극복했다.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에 비해 인구나 면적이나 비교가 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제조업으로 승부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구리와 같은 광산물이 많이 났다. 남북으로 긴 땅에서 다양한 농작물이 생산됐다. 칠레는 자기의 장점과 개방정책으로 승부를 걸었다. 그리고 승리했다. 웅상은 여러 점에서 칠레와 닮았다. 웅상은 양산시와 산맥으로 가로막혔다. 울산과 부산의 거대도시에 끼어 샌드위치 신세다. 웅상시민은 대기업의 2차, 3차벨트라는 취약한 산업구조를 가졌다. 게다가 내부적 갈등관계라는 불화의 씨앗도 안고 있다. 이 시기에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이 무엇인지 곰곰이 생각해 보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