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장애인의 지역사회 복지를 복원하자..
사회

장애인의 지역사회 복지를 복원하자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7/04/17 00:00 수정 2007.04.17 00:00

4월 20일은 정부에서 정한 장애인의 날이다.
우리나라에는 인구의 10%인 약 480만명의 장애인이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장애인의 날을 맞아 먼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장애를 갖고 있지 않은 국민들에게 장애인 하면 뭐가 떠오르냐고 물어보면 대부분 장애인은 힘들게 사니까 도와주어야 할 대상이라는 대답을 한다.

즉 같은 사람이 아닌 동정의 대상이 장애인인 것이다. 이런 저급하고 낮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장애인의 삶을 더 힘들게 할 뿐 아니라 장애인에게 가해지는 분리와 차별의 토대가 되고 있다. 신문, 방송에서 흔히 목격하는 사실이지만 때가 되면 장애인 수용시설에 찾아가서 라면 몇 박스와 돈 몇 푼 쥐어주고 사진을 찍은 다음 봉사활동을 했다며 크게 자랑한다.

이런 차별적인 언행은 소위 지도층 인사들일 수록 더하다. 장애인의 날도 마찬가지지만 연말연시나 명절 때마다 신문 방송을 온통 도배하는, 고위층이 시설 위문 방문을 했고, 시설 봉사활동을 했다는 기사들을 보면 고위층의 고귀한(?) 봉사활동 대상이 되기 위해서라도 장애인이 사회와 격리된 시설에 있어야 한다는 착각까지 든다.   

내친 김에 장애인에 대한 차별 사례를 하나 더 들면, 최근 필자가 속해 있는 연구소가 올해 장애인의 날을 맞아 시민들을 상대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적이 있다. 그 결과 장애인과의 결혼에 적극 반대한다는 응답이 전체 설문 응답자의 93%에 달했다.

이게 우리나라의 장애인이 처해 있는 현실이다. 그러면 장애인에 대한 그리고 장애인을 위한 세계적인 정책과 제도 개선의 흐름은 뭘까. 바로 탈시설화와 지역사회 복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한마디로 장애인은 무슨 일이 있어도 격리된 수용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이웃과 더불어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사회 복지는 멀리서 예를 찾을 필요 없이 농촌의 경우 공동체 가치가 유지되던 시절을 돌아보면 마을에 장애인이 있을 경우 마을 사람들은 장애인을 내치지 않고 마을 전체가 책임감을 갖고 장애인을 돌봤다.

어렵게 얘기할 필요 없이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을 위한 지역사회 복지는 이런 공동체적 가치를 다시 복원하자는 것이다. 이런 장애인을 마을 구성원들이 책임지는 것은 인륜적으로도 지극히 당연한 일인 것이다.

다른 나라의 경우 마을에 장애인이 여러 명 있으면, 마을에서 장애인들이 일하는 공동작업장을 만들어서 장애인의 일을 통한 자립을 지원하고 있다. 또 중증장애인이 있으면 마을 사람들이 돌아가며 활동보조인으로 나서 중증장애인의 외출과 가사를 돕고 있다.

다시 강조하지만 장애인은 격리된 수용시설에 있어야 할 존재가 아니다. 지역사회, 바로 이곳 마을과 동네에서 살아야 할 권리가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태곤 월간 ‘함께걸음’ 논설위원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