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평산동은 동사무소 직원이 11명, 덕계동은 10명이 배정되어 있다. 공무원 수가 인구 수에 따라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인구를 살펴보면 평산동은 2만3천여명, 덕계동은 1만2천여명이다. 행정수요를 고려하지 않고 인구 기준으로만 공무원 정원을 산출해 행정력 배분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출장소와 동사무소 간에 업무 배분도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최근 농지취득에 관한 업무 처리를 출장소에서 할 것인가, 동사무소에서 할 것인가를 놓고 출장소와 동사무소 간 다른 입장을 보여 본청에서 중재를 하기 위해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농지취득업무가 이해당사자의 민감한 사유재산에 관련된 분야인 만큼 각종 민사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동사무소에서 처리하기 곤란하다는 동장들의 입장이 전달된 것이다. 분동체제 시작 이후 달라진 행정체계가 시민들에게 편리한 행정서비스를 약속하며 시작했지만, 아직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