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공공임대주택 보급 사업으로 동면에서 주택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임대아파트 건립 사업이 동면 주민들의 반발이 잇다르고 있다. 지난 1일 시의회(의장 김일권)를 찾은 동면 석산리 석산해강아파트,한신 휴 플러스아파트 입주자 대표 10여명은 주공이 계획하고 있는 석산리 일대 국민임대아파트 사업(777세대)가 주민들의 의견도 듣지 않고 일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철회를 요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주민들은 탄원서를 경남도와 건설교통부 국민임대주택건설기획단 등에도 함께 제출하고 국민임대아파트 사업 진행 인ㆍ허가 절차를 중단하고 취소할 것을 요구했다. 주민들에 따르면 현재 석산리에 주공이 진행 중인 국민임대아파트 사업의 부지가 준주거지역과 일반주거지역을 포함해 주민의견수렴 절차 없이 도시기반시설이 마련된 부지를 강탈하려 한다는 주장이다. 주공이 입지가 우수한 주거지역을 골라 개인재산권을 침해하고 비밀행정을 통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의회를 항의방문한 주민대표들은 "부산 사상구,북구 등 지자체에서 주공의 임대주택 건립을 사회복지비 증가 등을 이유로 거부하는 조례까지 제정하는 마당에 양산시가 부산에 건설하지 못한 임대아파트 몫까지 껴안을 이유가 없다"며 "주공이 일방행정으로 시민들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데 시가 수수방관하고 있다"고 시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한편 주공은 동면에만 사송ㆍ내송 지역에 19평형 국민임대아파트 5천829세대를 포함한 택지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던 이 일대를 형질변경 이후 매입해 주민들의 집단반발을 부른 바 있다. 이번 석산리 주민들의 반발 역시 건설교통부와 주공의 일방적인 사업 진행으로 재산권 침해를 우려한 것이 원인이다. 또한 주공의 임대아파트 사업이 수요와 공급보다 정부 방침에 따라 '묻지마식'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도 주민들의 반발을 부르는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주공이 양산에서 분양을 완료하거나 착공에 들어간 임대아파트는 국민임대 2개 단지 2천268세대이며,아직 착공도 하지 않은 채 사업 승인을 받아 토지 보상 등 절차를 거치기 위해 준비 중인 임대아파트는 국민임대 4개 단지 4천806세대,5년 임대 2천14세대에 달한다. 최근 민간아파트의 미분양이 2천여세대를 훨씬 웃도는 상황에서 주공이 사업승인만 받아 놓고 착공도 하지 않은 임대아파트 수가 늘어나면서 전체 부동산 시장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동면에서 시작된 주공과 주민들의 갈등이 사업 진행에 따라 양산 전역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