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무형문화재 지정을 놓고 스승과 제자 간 갈등이 표출됐던 양산학춤이 지난 달 사사비 공방에 이어 전 문화원장까지 진실공방에 가세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맡고 있다. <본지178호, 2007년 4월 17일자 보도>이종관 전 문화원장은 지난해 6월께 김 씨가 시와 시의회에 보낸 호소문이 문화원장의 직권으로 김덕명 계승보유 소유 작품인 양산사찰학춤을 문화원학춤으로 왜곡,조작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 자신의 명예가 실추됐다고 주장하고 나섰다.이씨는 "전문화원장으로서 자칫 잘못 나서면 양산학춤 전수자 지정에 누가 될까 화를 참고 있었지만 지난달 김덕명씨가 행한 사사비 공방 작태를 보고 더 이상은 참을 수 없어 실추된 명예를 훼손하고자 나서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이씨는 자신이 양산시 보조금으로 개설된 양산사찰학춤 전수지도를 문화원장 직권으로 중단시키고,자신의 명령에 복종하지 않으면 양산학춤을 타인에게 문화재 지정을 하겠다고 협박했다는 등 명예훼손부분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는 내용증명을 지난달 9일부터 말까지 4차례에 걸쳐 김씨에게 발송했지만 아무런 답이 없어 시와 시의회에 억울함을 호소하는 내용증명을 보냈다고 말했다. 이씨는 "문화원장 직권으로 춤 전수지도를 중단시킨 적은 절대 없다"며 "오히려 김씨는 5년여간 시민들의 혈세로 지급된 학춤 강사료를 받아오면서 한 번도 춤을 전수한 사실이 없다. 이것은 보존회 이사회의 석상에서 김덕명 본인이 스스로 주장한 내용"이라며 이는 시민들을 기만한 태도라고 말했다. 실제로 양산학춤 기능보유자인 김덕명씨는 지난 2001년 6월부터 2006년 3월까지 5년 3개월간 양산문화원 문화학교 학춤강사로 일하면서 3천420만원의 강사급료를 받아왔다. 이에 김씨는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며 "양산사찰학춤은 개인재산이므로 후보자 지정은 개인의 자유"라며 "이 부분에 대해 뭐라고 하는 것은 지나친 간섭"이라고 말했다. 이씨는 "양산사찰학춤은 개인재산이기 이전에 양산에 뿌리를 두고 있는 양산의 문화다. 언제까지 개인의 욕심으로 양산을 대표하는 전통예술을 훼손할 생각인지 궁금하다"며 "더구나 김씨는 양산학춤을 울산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자 하는 자신의 아들을 후보자로 올리지 않으면 문화재 등록신청을 못하게 했다"고 반박하고 나섰다.양측 모두 한 치의 물러섬도 없이 맞서고 있는 상황 탓에 이 전문화원장의 명예훼손공방은 지난해 9월부터 시작돼 8개월간 끌어오고 있는 양산학춤 전수자 논란 공방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됐다. 상황을 지켜보던 문화계와 지역인사들은 "시간을 계속 끌수록 양산학춤을 다른 지역에 빼앗기는 '닭쫓던 개 지붕쳐다보는 격'이 되고 말 것"이라며 "개인의 사리사욕 탓인지,문화원장의 직권남용인지 진실은 반드시 밝혀질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