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난이 양산지역의 고질적인 문제로 떠오른 지 오래다. 도심 뒷길은 이미 주차장이 돼버렸고, 어린이 보호구역도 예외는 아니다. 그나마 낮 시간대에는 단속이 이뤄지지만 밤 시간대에는 사실상 무법천지다. 불법 주ㆍ정차 단속권이 경찰에서 지자체로 넘어간 이후 공무원이 퇴근하고 나면 단속이 거의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왕복 2차선인 북정동 삼성 중학교학교 앞 도로는 밤이면 돌연 일차선으로 변한다. 도로 주변으로 불법주차 차량이 길게 늘어서기 때문이다. 차량 흐름은 생각하지 않고 주차한 차량으로 이 도로를 지나는 운전자는 애를 먹기 일쑤다. 지난해 12월 한 시내버스 회사가 본사를 남양매직 뒤편으로 이전하면서 버스 통행이 잦아져 버스라도 한 대 지나갈 때면 도로는 이차선의 기능을 상실한다. 이 도로 인근 대동아파트 주민 박아무개(36)씨는 "퇴근시간만 되면 가장가리에 주차한 차들로 도로가 막혀 원활한 통행이 힘들다"며 "야간에 주차를 하는 것은 좋은데 최소한 차량 흐름은 방해하지 않아야 하는 것 아니냐"며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런 상황은 비단 이곳 도로뿐만 아니라 도심 전역에서 발생한다. 특히 웅상지역 도심은 도로가 좁은데다 주택가 주차공간이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아 더 심각한 상황이다. 대형트럭 등이 교각이나 도로 모퉁이 지역에 불법 주차해 운전자와 보행자의 시야 확보가 어려워 사고 위험이 크다. 또 야간 불법 주차는 소방차나 구급차 등 긴급차량의 출동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이에 따라 웅상출장소(소장 손기랑)는 불법 주ㆍ정차 차량에 대한 야간 단속을 해 주민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 10일부터 야간 단속을 펼쳐 1천여대를 계도하고 2백여대를 단속했다. 출장소 관계자는 "지금까지 무질서한 야간 불법 주ㆍ정차로 크고 작은 교통사고는 물론 주민들의 불편이 컸다"며 "야간 단속으로 불법 주ㆍ정차로 인한 각종 사고에 대한 위험요소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무책임한 야간 주차단속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서민들이 거주하는 주택가에 주차 공간의 확보 없이 우선 단속부터 하고 보자는 식의 방침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른바 '단속을 위한 단속'에 대한 시민들의 걱정인 셈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주ㆍ정차 금지구역을 중심으로 우선 경고음을 울려 계도를 한 뒤 단속에 나서고 있다"며 "단속요원을 최대한 투입해 주차질서가 확립될 때까지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