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행정사무감사 이후 뜨거운 논쟁을 불러 일으킨 새마을 회관 불법 증축 논란이 해를 넘기고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지난 25일 시의회 조사특위에서 ‘새마을 회관 불법 증축’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관련 공무원들을 증인출석 시켰으나 읍면동 새마을지회 회장단 30여명이 시의회를 찾아 회의가 한 때 지연되는 등 물의를 빚었다. 새마을지회 지역 회장단들은 이날 특위 조사가 공청회로 진행된다는 새마을회의 안내에 따라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날 특위는 회관 건립과 관련된 새마을지회 관계자의 증인 출석은 계획되지 않았고 공무원의 현황 설명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었다. 갑작스런 새마을지회 지역 회장단의 집단 방문에 대해 시의회 관계자는 “행정절차를 무시한 설계변경으로 물의를 빚은 새마을회가 특위 조사에 대해 압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며 “원만한 해결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시의회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이에 대해 새마을지회 관계자는 “특위 조사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가 아니라 회관과 관련된 처리상황을 궁금해 하는 회원들이 과정을 지켜보기 위해 참석했을 뿐”이라며 압력 행사 의혹을 부인했다. 1년여째 완공 단계에서 공사가 중단된 새마을 회관은 현재 시공업체에게 지불해야 할 공사대금 15억원을 제때 지급하지 못해 공사대금 지체상환금만 6억여원에 이르고 있다. 대금 지급이 계속 미루어질 경우 지체상환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건립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또 다른 문제를 낳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현재 시공업체 역시 받지 못한 공사대금을 정산하기 위해 건물을 담보 설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새마을회는 내달 1일 임시대의원 총회를 열어 건물을 시로 가등기할 것을 결의할 예정이다. 개인업체에게 건물을 내줄 수 있다는 위기감이 소유권을 포기하는 형태로 드러난 셈이다. 하지만 신축 건물에 대한 운영권과 관리권을 보장하는 전제로 시의 가등기를 추진하고 있어 운영권과 관리권을 아무런 조건 없이 승인할 경우 이미 막대한 예산을 특정단체 회관 건립을 위해 지원하는 선례를 남긴 시가 특정단체의 입장에 다시 한 번 지나치게 기우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면키 어려워 보인다. 문제의 새마을 회관은 2005년 동면 석산리에 도·시비 27억9천만원으로 부지 2천161㎡ 규모로 원래 지상 3층, 지하 1층 건물이 착공에 들어갔다. 하지만 2006년 초 새마을회는 시의회 등과 사전 협의 없이 3층에서 5층으로 설계변경하고 예산도 총 43억원으로 늘려 잡아 공사를 강행하면서 추가 예산 지원과 설계 변경의 적법성, 특정인의 개입 의혹 등 물의를 빚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