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지역의 원활한 폐기물 처리를 위해 지난 2004년 착공한 자원회수시설에 대해 시가 토공과의 건설비 분담금 문제를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원회수시설 건설은 쓰레기 소각 시설이 도심 한 가운데 들어선다는 시민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친환경적인 시설과 부대시설을 조성한다는 취지로 150m 상공에 전망식 타워를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설계변경된 바 있다. 따라서 처음 자원회수시설 2기 건립에 필요한 541억원에서 621억원으로 사업비가 늘어나면서 시비 부담 범위를 놓고 시의회와 마찰을 빚기도 했다. 설계변경 과정에서 시는 시의회에 추가 시비 부담은 없을 것이라는 말로 시의회를 설득해왔다. 하지만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자원회수시설 621억원, 주민편익시설 150억원, 감리비 51억원, 기타 17억원 등 모두 839억원의 전체 사업비가 확정되자 전망타워 설치로 인한 증액분을 총액에 포함시켜 시의회에 재설명을 하는 과정에서 논란을 겪었다. 시의회는 처음 예산 승인을 요청할 때는 전망타워 설치에 따른 증액분 108억원 가운데 시비 부담 비율에 대해 집행부의 설명이 있었지만 어느 순간 전체 사업비에 대한 부담 비율에 대한 설명으로 집행부가 말을 바꾸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시는 자원회수시설 가운데 전망타워만 따로 예산을 책정할 수 없으며 처음 설명 당시와 단가적용시점, 내진설계 강화, 부가세 등의 이유가 발생해 전체 사업비가 증액될 수 밖에 없었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따라서 전체 사업비 839억원 가운데 시가 부담해야 할 금액이 229억원 규모로 확정단계에 접어들자 앞으로 시비 부담률에 대한 시의회와 시의 입장이 다시 한 번 논란에 빠질 전망이다. 시는 229억원 가운데 국비 69억원, 주택공사가 계획하고 있는 동면 미니신도시 건설에 따른 자원회수시시설 이용 부담금 100억원 등을 통해 순수 시비는 60여억원 선에서 투입될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지역난방공사와의 공통시설 설계변경을 통한 예산절감, 주민편익시설 단가협의 조정 등으로 시비 부담을 낮추겠다는 방안도 마련한 상태이다. 하지만 국비 지원과 주택공사와의 협의가 여의치 않을 경우 시가 예상하고 있는 60여억원보다 많은 시비가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시의회는 토공과의 부담금 협상이 시의 예상보다 낮은 것이라며 시의 협상력에 의문을 표시하고 있어 자원회수시설 예산 지원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