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3년 11월 정부의 부동산 정책으로 시작된 투기과열지구 지정 조치는 ‘투기 억제’라는 효과를 거두기 위해 실시됐지만 지역 건설 경기를 침체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지난 27일 정부는 양산을 포함한 전국 24개 지역에 대해 투기과열지구 해제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수차례 지구 해제를 요구해온 양산은 일단 정부의 결정에 대해 환영하는 분위기이지만, 뒤늦은 지구 해제 조치가 지역 건설 경기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지에 대해서는 ‘기대 반 걱정 반’이라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경남도 집계에 따르면 이미 아파트 미분양이 5월 현재 2천225세대로 2006년 7월 3천164세대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천여 세대가 넘는 아파트가 미분양 상태로 남아 있다. 또한 오는 9월부터 시작되는 ‘분양가상한제’로 6개월 동안 지구 해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분양권 전매가 금지되어 2개월짜리 투기과열지구 해제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양산의 경우 최근 분양을 계획하고 있는 신도시 2단계(물금지구)에 대림산업의 884세대, 998세대 2개 아파트 단지의 분양 실적에 지역 건설업계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지구 해제 조치가 실제 지역 건설 경기에 미치는 영향을 미비할 것이라는 관측 속에서도 어려운 현실을 헤쳐 나갈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기대 심리 때문이다. 하지만 주택담보대출 한도제한과 양도세 중과 등으로 수요자들의 주택 구매율이 현저히 떨어져있는 상태이고, 신도시 개발의 지연,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개통 시기 연장 등 악재가 겹쳐 있는 가운데 인구 유입이 아파트 구매의 주 수요인 양산의 경우 대규모 아파트 미분양 상태가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관측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사후 약방문’이라는 부동산 관계자들의 말은 투기과열지구 해제 이후에도 어려운 지역 건설 경기를 반증하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