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근로자를 2년 이상 고용할 경우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비정규직 보호법이 지난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간 이후 정부와 재계가 갈등을 겪고 있는 가운데 지역 업체들도 이 법안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양산상공회의소가 지난 5월 4일부터 6월 15일까지 지역 표본업체 1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7월 비정규직법이 시행될 경우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지역 업체들은 복리후생비와 인건비가 증가할 것(19.2%)이라며 업체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인건비 등 부담 증가와 함께 업체들은 공장자동화와 아웃소싱이 강화될 것(16.7%)이라고 답해 비정규직 근로자를 고용하고 2년이 지나면 해고하는 대량 해고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우려를 높이고 있다. 한 제조업체 대표는 "업체들이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보다 비정규직을 없애고 외부에 도급을 주는 방식을 선호할 가능성이 있다"며 "그 방법이 업체 입장에서 더 경제적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지역 업체들은 비정규직법이 미칠 영향에 대해 파견인력 운영에 큰 도움이 안 됨(15.4%), 차별금지에 따른 대관업무 증가(7.7%), 전문인력 운영에 제한(6.4%), 차별금지에 따른 경영불확실성 증가(6.4%) 순으로 답해 업체나 근로자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업체들은 고령자고용촉진법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조사결과 인력 운영에 제한(34.2%)이 가장 많았으며, 업무부담 가중(22.4%), 자기에게 불리한 것만 차별로 제기할 가능성(19.7%), 정부에서 정년 연장을 강제할 가능성(15.8%)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