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개발로 인한 쓰레기 수요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시가 2004년부터 추진해온 자원회수시설 건립 사업이 마지막 행정 절차를 남겨두고 쓰레기 시범 반입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 6일 시는 공사가 마무리된 자원회수시설 가동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쓰레기 반입이 시작되었다고 밝혔다. 추진 과정에서 생활환경 저해, 재산권 하락 등을 이유로 주민들의 반발을 불러온 자원회수시설 건립이 본격 운영을 앞두게 된 것이다. 시는 이달 중으로 자원회수시설 운영을 위한 주민협의체를 구성하고 관련 조례를 개정하기 위한 행정절차를 서두르고 있다. 오는 11월 15일 준공 예정인 자원회수시설을 차질없이 운영하기 위한 준비 작업인 셈이다. 그동안 논란을 겪었던 지원범위 역시 자원회수시설 주변 300m 이내 주민들에게 난방비 보조 등의 협의안이 제시되었고, 주민편익시설 설치를 위한 사전 작업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자원회수시설 운영을 위한 주민협의체 구성도 시의원 3명과 주민대표 6명, 전문가 2명 등 11명으로 이달 중 위촉될 예정이다. 주민협의체가 구성되면 앞으로 자원회수시설 운영과 주민지원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수립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례 개정을 통해 기존 유산쓰레기매립장과 함께 폐기물 지원 기금을 활용할 수 있는 지원범위, 대상 등도 조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주민들과의 갈등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 여전히 일부 주민들은 자원회수시설 설치로 인한 생존권과 재산권에 대한 우려로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경남아너스빌 주민 일부는 아파트 주변으로 자원회수시설 외에도 교량 건설, 유수지 악취, 공원 소음, 송전탑 등으로 생활환경이 열악하다며 쓰레기 반입을 저지하겠다는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부 주민들은 자원회수시설과 관련 없는 민원까지 자원회수시설 설치 협의 사항으로 묶어 개선을 요구하고 있어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자원회수시설 설치를 걱정하는 주민들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해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해 자원회수시설 사업을 추진해 왔고 주민편익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시책을 마련해왔다"며 "앞으로 주민협의체 구성이 완료되면 보다 주민 입장을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갖추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시는 수영장, 체육단련시설, 어린이전용도서관, 북카페 등이 갖춰질 주민편의시설을 자원회수시설 옆 부지에 오는 2009년까지 마련하기 위해 예산 확보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