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웅상읍 분동 이후 주민지원금을 부담하는 두 업체의 위치가 모두 소주동에 있다는 점이 논란의 여지를 남겼다. 때문에 주민지원금을 소주동에서 관리·활용해야 한다는 주장과 전과 마찬가지로 웅상지역 전체를 범위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웅상출장소(소장 손기랑)는 지난 24일 출장소장실에서 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주민지원금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했지만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웅상출장소 관계자는 “제전위원회와 같은 대표기구를 구성해 민간에서 주민지원금을 관리하는 데는 원칙적으로 동의가 이뤄졌지만 아직 구체적인 내용은 합의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심의위원회 회의에서 구체적인 합의가 도출되지는 않았지만 주민지원금의 활용범위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의견이 모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주동 통장협의회 이상영 회장은 “주민지원금을 소주동에서 모두 사용하는 것은 욕심일 수 있다”며 “하지만 소주동에서 조성되는 기금인 만큼 70% 정도는 소주동에서 우선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웅상발전협의회 이태환 회장도 “주민지원금을 지금처럼 웅상지역 전체를 범위로 활용하되 소주동에 사업이 있을 경우 우선 지원하는 방안이 바람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이처럼 주민지원금 활용범위에 대해서는 대략적인 의견들이 종합되고 있지만 이를 심의하고 처리할 심의위원회 구성을 둘러싼 의견은 여전히 팽팽한 상황이다. 웅상새마을협의회 김욱진 회장은 “소주동 위주로 주민지원금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소주동 출신 심의위원이 많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의회 이채화 의원도 “주민지원금이 소주동에서 발생하는 기금이기 때문에 심의하는 위원회 구성도 당연히 소주동 출신이 다수를 차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바르게살기운동 서창동위원회 서근수 위원장은 “주민지원금을 소주동에서 우선 활용한다는 의견에는 동의하지만 심의위원회 구성은 지역별로 균등해야 한다”며 “주민지원금의 활용은 각 지역 출신 심의위원들의 공정한 판단 아래 활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주민지원금 활용범위와 심의위원회 구성뿐만 아니라 웅상읍 분동 이후 동별로 사회단체와 민간기구의 새로운 조직이 구성되는 과정에서 소모적인 논쟁과 불필요한 행정력이 낭비되지 않는 방안을 찾는 혜안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