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압송전탑에 대한 위험성이 부각되면서 신도시와 동면 일대에 설치된 고압송전탑을 이설해 줄 것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27일 양산신도시 주민들과 동면 계석리 주민들은 최근 호주 태즈메이니아 대학 연구팀이 전기자장과 각종 암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고압선으로부터 300m 이내에 살고 있는 주민들은 송전탑이 없는 곳에 사는 주민들보다 암 발병위험이 5배나 높다고 발표한 결과를 언급하며 동면과 신도시에 설치된 고압송전탑의 이설을 요구했다. 또한 지난 2005년 6월에는 옥스퍼드 연구팀이 백혈병 어린이 9천700명을 대상으로 고압선과의 인과관계를 조사한 결과 200m 안에 고압선이 있을 경우 백혈병에 걸릴 위험이 70%,200~600m 사이에는 20%가 각각 높게 나왔다고 발표한 바 있어 송전탑이 지나는 해당 주민들은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며 시와 토지공사, 한국전력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현재 신도시 1단계 구간에만 부산과 동면을 거쳐 원동면 배내골로 이어지는 345kv 고압송전탑이 8개가 설치되어 있다. 높이만 40m 가까이 되는 고압송전탑은 육안으로 보기에도 위협스러운 존재다. 더욱이 아파트와 최소 이격거리인 50m를 유지하면서 설치되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한전과 토지공사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의 불안은 쉽게 사르러들지 않고 있다. 현재 고압송전탑이 설치된 지역은 6천여 세대 규모의 아파트 7개 단지가 있으며 초등학교도 3개교에 이르는 등 인구밀집 지역으로, 어린 자녀가 많은 20∼30대 세대주가 많은 젊은 도시이어서 고압송전탑으로 인한 불안감은 더욱 크다. 주민들의 불안이 커지자 시의회(의장 김일권)는 송전탑 설치 실태를 파악하고, 시와 한전, 토공 등 관계기관에 송전탑 이설 또는 지중화 등의 대책마련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채택키로 해 앞으로 결과가 주목된다. 하지만 토공과 한전측은 지중화의 경우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는 데다 신도시의 토지분양이 거의 마무리돼 이설 부지를 구할 수 없다며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 시의회 박말태 의원(무소속, 원동ㆍ물금)은 "고압송전탑으로 인해 어린이들의 암과 백혈병 위험이 높은데도 대책마련을 외면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신도시 계획 당시 전력구를 설치해 지중화를 하기로 했지만 비용문제로 계획을 수정한 것으로 알려진 만큼 의회 차원에서 강력히 대처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미 설치된 송전탑 외에 한전이 추가 송전탑 설치를 추진하고 있어 송전탑 설치 반대 분위기는 한층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2년부터 추진되어온 '신고리~북경남 송전선로 건설 사업'은 최근 노선 변경으로 인한 승인 절차가 막바지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신도시에 설치된 345kv보다 2배 가량 고압인 765kv 송전탑을 동면에서 상북면, 원동면에 이르는 24.8㎞ 구간에 46개를 추가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지난 2005년 환경영향평가서 설명회 당시 동면과 상북면 주민들이 송전탑 설치를 반대하며 주민설명회가 무산된 바 있으며, 관계기관에 탄원서를 제출한 바 있다. 또한 현재 원동면 배내골 주민들은 청정지역인 배내골에 송전탑 설치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강력히 반대 입장을 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