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0월 로스쿨 대학 공식 선정을 앞두고, 각 대학이 '로스쿨별 입학정원'을 두고 힘겨루기를 시작했다. 로스쿨 인가 결정이 비교적 확실한 서울대, 고려대 등의 수도권 주요 대학은 '로스쿨별 정원 늘리기'에, 로스쿨 인가 경쟁이 치열한 지역 대학은 '로스쿨별 정원제한 지키기'로 팽팽히 맞서고 있는 것.교육부가 '로스쿨법 시행령'을 발표하면서 개별 로스쿨 입학정원은 특정지역이나 특정대학에만 로스쿨이 설치되는 것을 막기 위해 로스쿨별로 150명의 상한선을 둔다고 밝혔다. 이에 서울대 등 수도권 주요 대학은 '이 시행령은 로스쿨 인가 탈락 대학을 줄이려는 동정적 배려일 뿐 경쟁력 있는 법학교육을 위해서는 합당치 않다'는 의견을 제출하며 반대 입장을 내세웠다. 이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로스쿨 유치를 추진해 온 영산대 등 지역 대학들은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영산대 관계자는 "로스쿨 체제는 일부 대학의 법조인 양성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생각을 가진 법조인을 양성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서울대 등 수도권 대학의 입학정원 독식을 막는 정원상한제는 반드시 지켜야 한다"며 "교육부도 법조인 양성의 다양화와 대학의 균형발전을 위해 로스쿨 법안을 도입한다는 당초 취지와 원칙에 충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로스쿨 총정원에 대한 결정을 두고 현재 법학계와 법조계의 의견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학교별 정원문제로 법학계가 편나누기를 해서는 안된다"며 "수도권 몇몇 대학들이 로스쿨 입학정원을 대부분 할당받게 되면 그동안 수백억원을 투자해 로스쿨 유치를 추진해 온 지역 대학들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한편 로스쿨 유치경쟁 대학들이 기업변호사 등 법률 전문가들을 대거 신규 임용하기 위한 '로스쿨 교수영입 경쟁'도 본격화 됐다. 영산대 역시 오는 2008년까지 교수진을 확대한다는 방침이어서 교수영입 경쟁노선에 합류했다. 영산대 관계자는 "서울대 등 일부 수도권 대학이 다른 대학의 법대교수들까지 영입하고 나서 대학가에 교수영입 전쟁이 일어나고 있는게 사실"이라며 "또한 교육부가 전문변호사의 교수 겸업금지 규정도 검토하고 있어, 다수의 국내외 전문변호사를 교수로 임용한 영산대를 비롯한 많은 대학들이 교수영입 관련된 공통된 숙제를 안게 됐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