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북주민 "더는 희생하지 않겠다"
시 "시설에 대해 오해하고 있다"
|  | |
|
▲ 축산폐수공공처리시설이 상북면 신전리에 건축될 예정이라는 사실이 알려지자 신전마을을 비롯한 인근 주민들은 반대추진위를 만들어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사진은 상북면 신전교에 걸려있는 반대 현수막 모습. |
|
상북면 신전리에 건축될 예정인 '축산폐수 공공처리시설 사업'을 반대하는 해당 주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시가 소규모 축산농가의 폐수처리를 위한 축산폐수 공공처리시설 부지로 상북면 신전리를 예정,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신전마을 주민들이 강력히 반발해 왔다.<본지 198호, 2007년 9월 10일자>그리고 지난 2일 사전환경성검토 결과에 대한 보고회를 통해 입지의 타당성과 주변환경과의 조화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볼 때 상북면 신전리가 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해당 주민들은 환경성검토 결과를 절대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축산폐수공공처리시설설치결사반대추진위원회'를 만들어 반대의지를 표명하고 있는 주민들은 지난 2일 '신축반대 및 계획의 전면 취소를 촉구한다'는 내용으로 주민 1천114명의 서명을 받은 서명부를 시와 시의회에 제출했다. 또 3일에는 집회를 위한 예행연습을 마쳐 빠른 시일 내에 신전마을과 인근 마을주민까지 합세해 대대적인 집회를 연다는 계획이다. 주민들은 "축산업자가 1명도 없는 신전마을 인근에 이같은 시설을 설치할 이유가 없다"며 "신전마을은 동쪽으로는 4개의 복지시설, 서쪽으로는 한우비육과 양돈농장, 남쪽으로는 대규모 양계농장, 북쪽으로는 고압전선의 횡단으로 완전히 고립되어 있어, 이미 악취와 소음, 위험 등에 노출돼 많은 피해를 감수해 왔다"고 호소했다. 게다가 "주민의 의견도 수렴하지 않은 채 계획부터 수립하는 구시대적인 행정과 지역구 의원의 태만한 감시ㆍ감독 태도를 용납할 수 없다"며 "현재 지역구 의원의 주민소환제까지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관계자는 "주민들이 과거의 이같은 시설과 혼돈해 현재 상당한 오해를 하고 있다"며 "현대의 축산폐수공공처리시설은 과거와는 달리 하수처리장과 연계하는 정화처리방식으로 지하밀폐화 되어 있어 악취나 수질오염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 "새로운 진입도로를 개설하고 도로 인근에 자연친화적 공원을 조성하는 등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사업도 함께 계획하고 있다"며 "충분한 검토 후 주민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1996년 해양오염 방지를 위해 체결한 런던의정서에 따라 오는 2012년부터 축산분뇨의 해양투기가 금지된다. 따라서 폐수처리 자체시설이 없는 소규모 축산농가를 위한 축산폐수 공공처리시설이 필요한 상황. 이에 시에서는 상북면 신전리 37-1번지 3천500㎡ 부지에 축산폐수를 정화처리 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양산지역 120여개 축산농가 가운데 40%가량이 상북에 밀집되어 있고, 이곳에 시 소유의 부지가 있어 예산절감의 효과까지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상북면 신전리가 최적의 장소라는게 시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