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가로수 정비사업 무더기 수의계약..
사회

가로수 정비사업 무더기 수의계약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7/10/23 00:00 수정 2007.10.23 00:00
사업비, 수의계약 가능한 1천만원 단위 분리 발주
나무 심기 시기, 지역경제 활성화 등 고려한 조치

'숲의 도시, 양산 만들기' 사업을 추진해 온 시가 올해 추경에 반영된 15억여원의 사업비를 수의계약이 가능한 1천만 단위로 나누어 발주할 계획으로 알려져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16일 시에 따르면 북부동~하북면 구간 국도 35호선 주변과 주요 시가지 내 국ㆍ공유지 111곳 11만9천314㎡에 가로수를 심어 쾌적한 도심 환경을 조성한다는 국도변 정비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가운데 시는 150㎡ 이하인 33곳을 우선사업 대상지로 선정하고 추경 예산에 15억여원을 반영해 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사업 대상지에는 구간별로 10∼15년 이상의 벚나무와 해송, 이팝나무 등을 심을 계획이지만 전체 사업물량은 모두 33개로 나누고 발주금액도 각각 1천만원 수준으로 결정해 분리 발주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의 계획에 따라 2천만원 이하 수의계약이 가능해져 사업구간별로 각각 수의계약이 진행될 전망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의 계획이 자칫 '나눠먹기식 업체선정'이 될 우려가 높다는 지적이다. 더구나 수의계약 결과가 특정업체에 쏠릴 경우 특혜의혹마저 제기될 수 있다. 또한 업체당 나무를 4∼5그루 정도 심을 수 밖에 없는 적은 금액으로 공사가 영세할 수밖에 없을 뿐 아니라 하자가 발생할 경우 적은 공사금액으로는 하자보수가 어려울 것으로 보여 시가 추진하고 있는 수의계약이 논란을 부르고 있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사업대상지가 국도와 시가지 변 곳곳에 흩어져 있고 연말내 사업을 조기 완료하기 위해 수의계약 키로 했다"며 "나무를 심을 수 있는 시기가 국한되어 있어 공사구간을 나눠 공사를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판단에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양산 지역의 토질이 가로수가 자라기에 적합지 않은 습지 지역이 많아 신도시 지역에도 가로수가 고사되는 현상을 종종 보이고 있어 하자보수를 대비한 입찰 방식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박말태 의원(무소속, 원동ㆍ물금)은 "시공사 관리와 하자보수를 위해서는 공개적인 입찰을 통해 사업을 추진해야 하는데도 사업량을 쪼개고 수의계약이 가능하도록 사업을 계획하는 것은 나눠주기식 사업추진 의혹이 짙다"며 "수의계약을 하려면 사업을 읍면동에 배정해 경쟁을 유도하고 사업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